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복지]다문화 2세대, 농식품 전문무역인력으로 육성을
1150
다문화 2세대, 농식품 전문무역인력으로 육성을

최종편집일 2015-11-20
 
융합형 시대에 적합한 한국형 신인류
새 농촌인력으로 대체될 가능성 높아
 
고령화와 저출산 등으로 인력부족문제에 봉착해 있는 농촌의 현실을 감안할 때 미래 농업인력 육성은 두말할 나위없는 중요한 과제이다. 전문농업인·후계농업인·귀농 및 귀촌인 등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농업인력에 대한 활용 및 지원대책은 꾸준히 수립되고 있으나 다문화 2세대 인력활용문제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다문화 2세대를 후계세대 육성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면 미래 대비차원에서 다문화 2세대의 육성과 활용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우선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 2세대는 고령화로 쇠퇴해 가는 농촌지역에서 향후 미래 후계세대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들은 두 개 융합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가지고 있어 자칫 단일 문화 관점에서 매몰되어 풀지 못하는 문제를 다양성과 조화의 관점에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융합형 시대에 적합한 한국형 신인류이기 때문이다. 향후 농촌의 인력문제가 심화될수록 이들은 새로운 농촌인력으로 대체될 가능성과 요구가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는데 이쯤 되면 다문화 2세대는 소수가 아닌 새로운 주체세력으로 등장할 날도 멀지 않게 된다.
 
또한 국가간 FTA를 넘어서 블록간 FTA로 확산되면서 수출문제가 블랙홀 이슈가 되고, 시장개척과 정보취득이 중요해짐에 따라 모국어는 물론 해당국가의 언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바이링구얼(bilingual) , 2개 언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의 가치는 더욱 높아진다. 다문화 세대는 두 개 언어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문화기반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인재로서 성장할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문화 2세대의 육성과 활용은 향후 경제적, 사회적, 산업적 관점에서 아주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은 20151월 현재 기준으로 174만을 넘어섰다. 이중에서 장단기 체류목적을 제외하고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은 200733만명에서 올해 182만명으로 2.5배 증가하였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2020년에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 사회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인 요구가 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다문화정책 지원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 여성부, 교육과학기술부, 법무부, 노동부 등 관련부처가 부처 특성에 따라 다문화 가족관련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 7개 부처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대응은 단기적으로 다문화 가족의 문제점이나 애로사항의 해결에 초점을 두는 근시안적 안목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문화 후계인력에 대한 미래 육성과 활용에 대한 대응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제 다문화에 대한 표면적이고 새로운 정책을 무작정 쏟아내기보다는 2세대에 대한 희망과 비전을 가지고 다문화 사회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 및 수단들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때이다. 다문화가정의 후계세대를 글로벌 인재로 육성하여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 국가 진출의 핵심인력으로 활용하고, 특히 FTA 체결에 따른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바이링구어 육성과 활용에 대한 정책적, 전략적 접근은 수출농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다.
 
권용덕/aT농식품유통교육원 유통연구소 교수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