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경제]농가 90 % 영농승계자 없다…후계농 육성 시급
1345
농가 90 % 영농승계자 없다…후계농 육성 시급

최종편집일 2015-12-07
 
귀농귀촌인·다문화농가 대상 신규 양성교육 필요
 
농업 후계인력 확보를 위해 귀농·귀촌인과 다문화농가 등 신규 농업 인력의 육성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정부에서 많은 자금을 투입해 왔음에도 급격히 고령화되는 농업인을 대체할 후계 인력의 육성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농가(112만명) 90.2%(101만명)가 영농 승계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9명 이상이 후계농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후계농이 없는 농가는 폐업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하지만 신규 인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귀농·귀촌이 대표적이다. 20103615명이었던 귀농인구는 지난해 11144명으로 3.1배 늘었고, 같은 기간 귀촌인구 역시 452명에서 33442명으로 74배나 증가했다.
 
다문화농가도 마찬가지.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농림업 종사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농촌지역에서 다문화농가가 느는 추세다. 다문화 농가는 201114384가구에서 지난해 14697가구로 증가했다.
 
김한종 농협 미래전략부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미국 등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해 신규 농업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선진국은 현재 연구개발 지원농업훈련 지원’ ‘인력 지원등 세가지 관점에서 정책을 마련, 젊은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농협 등이 손잡고 귀농·귀촌인이 농촌지역의 핵심인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다문화농가를 위한 전문 교육을 개발하고 이들을 농업·농촌의 다양한 사업에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태억 기자 eok1128@nongmin.com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