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경제]"경남 벼 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연장" 한 목소리
1222
"경남 벼 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연장" 한 목소리

최종편집일 2015-11-03
 
한농연경남·농협 등 쌀값폭락대책협의회
"내년 지원 조례 효력 끝나 개정 절실" 강조
 
경남도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조례가 조만간 효력을 다해 지원시한 연장을 위한 조례개정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경남도, 농협경남지역본부, 농협RPC경남협의회, 한농연경남도연합회, 전농부산경남연맹, 한국쌀전업농경남도연합회, 전국쌀생산자협회경남도본부 대표자나 실무자 등 20여명은 지난 23일 함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쌀값폭락대책협의회를 열었다.
 
한농연경남도연합회와 전농부경연맹 공동주관으로 지난달 8일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진행된 경남쌀산업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나온 이야기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4개 농민단체와 농협RPC경남협의회는 쌀값폭락사태에 한 목소리로 우려를 표명하면서 밥쌀 수입 중단 공급과잉 쌀 신속한 시장격리 쌀 대북지원 시행을 경남도와 농림축산식품부에 강력히 촉구키로 하는 등 6개의 공동실천사항에 합의했다.
 
특히 내년 630일로 한시적 효력을 다하는 경남도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조례가 조속히 개정돼 지원시한이 연장되도록 경남도와 경남도의회에 적극 건의키로 했다.
 
경남도는 정부지원과 별도로 2008100억원, 2009200억원의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했다. 이후 2010년 주민발의로 이 조례를 제정해 매년 200억원(도비 50%, 시군비50%)을 안정적으로 지원해왔다. 농가당 지원 최대범위는 5까지다. 지난해의 경우 1ha299486원이 총66781ha에 지원돼 쌀 재배 농가들에게 작은 힘이 됐다. 그러나 이 조례는 3년의 시한이 2013년 한 차례 연기됐고, 내년 일몰을 앞두고 있다.
 
김제열 한농연경남도연합회 정책부회장은 우리 쌀산업 대책이 대농중심으로만 흘러서는 식량주권 수호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면서 중소농이 희망을 잃지 않도록 벼 농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조례 시한연장은 물론, 더욱 다양한 직불금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날 협의회 참석자들은 농협RPC 자체수매 산물벼 제값 받기를 위한 협의와 노력 지속적으로 진행 농협RPC 전기요금 농업용 전환 관철 경남 쌀농업 발전과 농민권익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실천활동 상호 지원 등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키로 했다.
 
다만 농협RPC 자체수매 산물벼 건조율을 15%에서 16%로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차이가 워낙 크고 기술적 검토도 필요해 합의사항에서 제외시켰다.
 
진주=구자룡 기자 kuc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