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경제]친환경농업 5년새 반토막 ‘위기’ 보험도입·소비촉진 등 대책필요
1157
친환경농업 5년새 반토막 ‘위기’ 보험도입·소비촉진 등 대책필요

최종편집일 2015-09-11
 
친환경농업 재배면적과 농가수가 최근 5년 새 반토막 나면서 친환경농업이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경대수 새누리당 의원(충북 진천·음성·증평·괴산)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내 친환경농업 재배면적은 2009201688에서 20141046로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농가수 역시 198891호에서 85126호로 줄어 절반 수준 밑으로 급감했다. 이에 따라 국내 친환경 농산물 시장규모도 200934117억원에서 201424221억원으로 29% 줄어들었다.
 
이런 추세는 친환경 농산물 인증단계 가운데 가장 낮은 저농약의 신규 인증이 2010년 중단되면서 저농약 인증 농가들이 상위단계 진입 대신 관행농업으로 후퇴한 탓이다. 특히 과실류가 전체 저농약 농산물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71.2%에 달한다. 이 때문에 저농약 과실 농가를 유기나 무농약 농가로 전환시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과실류 농가의 경우 병해충 발생으로 소득 감소가 우려되는 만큼정부가 친환경 보험제도를 도입하고직불금 차원에서 생산비 보조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 의원은 친환경농업이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현재 정부예산 중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 촉진에 대한 실질적 예산이 거의 없다는 점도 문제라며 생산·유통뿐 아니라 소비 확대에도 더 많은 예산 배정과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상일 기자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