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통합검색

'해외'에 대한 검색결과는 총 1,227건 입니다.

연구보고서 (204)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직원/업무 (10)

농촌경제연구원 직원/업무
이름 부서 직급 담당업무 연락처 이메일 자세히
김창수 해외농업관측팀 전문연구원 해외곡물 관측 061-820-2353
김창수 해외농업관측팀 전문연구원 해외곡물 관측 061-820-2353
김진년 곡물축산관측실 전문연구원 곡물, 축산, 해외농업 관측 총괄 061-820-2224
박지원 해외농업관측팀 전문연구원 관측기획 061-820-2142

콘텐츠 (4)

이슈+ (1)

  • 목차 + 요약 +

농정포커스 (32)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학술지 (10)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동향/소식 (291)

  • 농촌공간정비사업 확대·개편안 외

    ※ 주간 브리프_Vol.31(2024.7.29.) ■ 농촌공간정비사업 확대·개편안 ■ 세계 경제 동향 - 2024년 7월 넷째 주 엔화 강세 전환 ■ 국내 경제 동향 - 2024년 2분기 국내총생산 전기 대비 0.2% 감소 - 2024년 6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하락 ■ 세계 농업·농정 동향 - 일본 농림수산성, 해외 식품 공장 적용 ‘로봇 위생 가이드라인‘ 발표 ■ 국내 농업·농정 동향 - 농식품부, 호우·폭염 대비 농작물 생육관리 총력 대응 - 국립종자원, 2024년 상반기 불법 종자 유통업체 65개소 적발

  • 농촌 고령 운전자를 위한 대책 급하다

    농촌지역 고령 운전자를 위한 교통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는 438만 명으로, 2025년에는 498만 명, 2040년에는 1316만 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3만1072건에서 2022년 3만4652건으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교통사고 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와 대조적이다.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농촌지역은 대중교통이 충분하지 않아 고령자가 자동차 없이 이동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에 따라 고령 운전자는 생계유지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운전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에 따라 편의점, 약국, 미장원, 은행 등이 없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인프라가 사라지고 있다. 생필품 구하기, 이웃과 만나기 등 일상생활을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는 점점 멀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촌지역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고령 운전자의 운전 자격 관리와 교통안전 대책이 더욱 중요한 이유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70세 이상 운전자가 고령자 강습을 수강하고, 75세 이상은 인지기능 검사와 운전기능 검사를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2022년에는 비상제동장치가 탑재된 차량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한정면허 제도를 도입하였다고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70세 이상 운전자는 운전면허 재심사를 받아야 하며, 주행능력 평가를 통해서 거주지 내에서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면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일리노이주는 75세 이상은 4년, 87세 이상은 매년 운전면허를 갱신하도록 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는 75세 이상 운전자가 매년 운전 가능 여부를 검사하는 의료 평가와 운전실기 평가를 받아야 하며, 지역 내 운전으로 제한된 면허도 발급하고 있다고 한다. 뉴질랜드에서는 75세 이상 운전자가 2년 주기로 면허를 갱신하며, 의사의 운전면허용 진단서와 도로안전시험을 통과해야만 운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각 나라마다 고령 운전자에 대해 안전을 위한 각종 조치들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대중교통 부족 등으로 인한 이동권의 제한이 많은 농촌지역의 경우는 좀 더 세밀한 대책들이 있어야 한다. 첫째, 이동

  • 인구변화 고려한 미래 식품산업 육성 방향

    지금보다 더 감소하게 되면 식품산업 인력공급난은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식품제조업은 설비자동화율을 높이고 스마트공장과 같은 설비 도입 지원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식품산업 현장에서는 뜨거운 불을 이용하여 튀기거나 삶는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이 많다. 최근 생산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사람과 협력해 작업을 수행하는 협동로봇을 활용하는 사례가 있다. 배달·서빙로봇, 치킨튀김로봇이나 돈까스튀김로봇, 카스테라 제조시 거품을 제거하고 다음 트레이로 이동시켜주는 로봇 등이 있다. 국내 식품산업의 로봇 활용은 10% 대로 국제 수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식품 대기업은 산업용로봇을 이용한 스마트팩토리를 이미 구축해 활용하고 있다면, 영세한 식품기업에서는 다양한 작업공정에서 협동로봇을 도입하고 활성화해야할 것이다. 셋째,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식품개발 및 혁신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우선 고령자 비중이 높아지므로 고령자를 위한 식품,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환자 맞춤형 식품, 식품을 통해 건강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소비자를 위한 기능성식품, 채식주의자를 위한 비건식품, 동물성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이외 대체식품, 1인 가구를 위한 간편식 등 맞춤형식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식품을 개발하거나 식재료를 생산할 때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3D프린팅 바이오기술 등 푸트테크에 사용되는 주요 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식품기업은 대량 생산·판매를 통해 이익을 실현했다면 미래에는 소량 다품종 생산과 혁신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 총인구 감소 효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국내 식품 수요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식품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국내 판매에 집중하기보다는 수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세계 경기침체 우려, 기후변화로 인한 원자재 수급불안 등으로 농식품 수출 여건이 매우 좋은 상황은 아니나 최근 한국 문화 컨텐츠 인기와 더불어 해외 K-Food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도 있다. 인구구조 변화는 눈에 띄지 않지만 점차 속도가 붙을 사회혁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와 산업계는 인구변화를 고려한 미래 식품산업을 준비해야할 것이다.

  • 미래세대 짐 떠넘기는 양곡법 개정안

    위기가 몰려오고 있다. 식생활의 변화는 농산물 수요에 큰 영향을 준다. 쌀 소비 감소는 가격을 떨어뜨려 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농업소득을 높이려면 수요에 맞게 농산물 생산을 조정해야 한다. 결국 우리 농업이 당면한 과제는 쌀 공급과잉 해결과 농업소득 증대, 농산물 가격 안정 등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개정안대로 정부가 과잉 공급된 쌀을 전량 매입하고, 낮은 농산물 가격을 보전해준다고 이런 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쌀 의무매입제와 차액보전제는 쌀과 특정 농산물의 초과 공급을 심화시킬 것이다. 쌀이 남아도는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56.4㎏이다. 1인당 쌀 소비량은 1984년 130.1㎏ 이후 39년 연속 감소 추세다. 이렇게 거스를 수 없는 식생활 변화를 무시하고 생산을 늘리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면 가격이 더 하락할 것이다. 가격 하락으로 농가소득이 줄어 농촌 소멸이 가속화되고 청년은 농업을 외면할 것이다. 잘못된 법안으로 농업의 미래가 사라질 수 있다. 국가 재정도 낭비될 수밖에 없다. 소비되지 않는 쌀을 시장에서 격리한 후 저가의 사료용이나 무상 해외 원조로 처리하는 사회적 비용도 또 써야 한다. 쌀 소비 감소 추세를 충분히 고려해 양곡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개정안에 포함된 ‘쌀 의무매입제‘와 ‘농산물가격안정제‘라는 명칭은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켜 국민 경제에 이바지한다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실상은 농산물 가격 하락 시 농가소득을 지지하는 목표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미래 농업 발전과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서는 시장을 왜곡시키는 가격 지지보다는 직접지불제, 수입안정보험과 같이 소득을 직접 보전하는 것이 적절하다. 농산물 수급과 연계된 이 같은 가격 지지 체계는 세계무역기구(WTO)가 규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선진국은 시행하지 않는다. 시행하더라도 생산자가 과잉생산의 책임을 분담하게 하고 있다. 두 개정안은 농산물 가격이 오를 때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개정안은 농산물 가격이 내려갔을 때 일시적으로 농가소득을 보전하지만,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고려하지 못하는 구조다. 농가소득 증대와 전 국민 물가 부담을 낮출 수 있는 균형 있는 농정 설계가 필요하다. 농업 문제를 풀 때는 정책 간 상충을 최대한 줄이고 바람직한

멀티미디어 (4)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학술대회 공동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은 10월 31일(목) 연구원 1층 대회의실에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윤해근 회장) 학술대회를 공동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국제협력을 통한 K-농업기술 해외 진출 확대 방안‘이었다.

  • 국제곡물시장 밸류체인과 최근 이슈 주제로 제4회 농경토론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2월 11일 연구원 세미나실에서 제4회 농경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농경토론회는 김지연 해외농업관측팀장이 ‘국제곡물 시장 밸류체인과 최근이슈‘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세미나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은 10월 25일(수) 오후 2시부터 연구원 1층 세미나실에서 ‘농업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기후변화 분야 해외 저명 석학인 브루스 맥칼(Bruce McCarl) 텍사스A&M대학교(Texas A&M University) 교수가 ‘기후변화, 농업 생산성과 적응 대책’(Climate Chang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Ongoing Adaptation)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서 대만 중화경제연구원의 린헨이(Hen-I Lin) 박사가 ‘기상서비스의 경제성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Economic Evaluation for Weather Service and Its Policy Implication), 연구원의 임영아 박사가 ‘기후변화와 한국의 적응 정책’(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in Korea)을 주제로 발표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토쇼이치 교수 초청 세계석학세미나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은 11월29일(수) 오전 10시 30분 부터 식량안보 분야 석학인 이토 쇼이치(Ito Shoichi) 일본 규슈대학교 명예교수를 초청해 해외석학초청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이토 쇼이치 교수는 ‘미국과 일본의 쌀 실태 및 과제(Contemporary U.S. and Japan Rice Situation and Challenges)‘이라는 주제로 발표했고, 질의응답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