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통합검색

'가격조사'에 대한 검색결과는 총 1,060건 입니다.

연구보고서 (106)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안현진; 채광석; 임영아; 임준혁; 박형호; 김창길; 심창섭; 이요한; 조현경 2023.12.30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콘텐츠 (2)

농정포커스 (50)

  • 목차 + 요약 +
  •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정민국, 김원태; 박영구; 박지원; 남호진; 노수정; 김다정 2023.11.13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학술지 (24)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 목차 + 요약 +

동향/소식 (263)

  • 농지규제 완화 농지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외

    ※ 주간 브리프_Vol.14(2025.4.14.)■ 농지규제 완화 농지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세계 경제 동향 - 미국 상호관세 조치 90일 유예, 대(對)중국 관세 조치 강화■ 국내 경제 동향 - 기획재정부, 미국 상호관세 조치 대응한 정책자금 추가 공급 방안 발표■ 세계 농업·농정 동향 - 일본 농업신문 학교급식용 쌀 가격 관련 전국 조사 결과 발표■ 국내 농업·농정 동향 - 산불 피해지역 농업인 지원방안 발표

  • 2024년 경지면적조사 발표

    ※ 주간 브리프_Vol.9(2025.3.10.)■ 2024년 경지면적조사 발표■ 세계 경제 동향 - 유럽중앙은행(ECB) 3월 유로존 기준금리 0.25%p 인하■ 국내 경제 동향 - 2024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조사 결과■ 세계 농업·농정 동향 - 일본 농림수산성, 2023년도 농약 사용 및 잔류 상황 조사 결과 발표 - 미국 농무부(USDA), 고병원성 조류 독감(HPAI) 대응 및 계란 가격 안정화 계획 발표■ 국내 농업·농정 동향 - 농림축산식품부, 중장기 가축방역 발전 대책 발표

  • 농수산식품 수출확대 전략 발표 외

    ※ 주간 브리프_Vol.8(2025.3.4.)■ 농수산식품 수출확대 전략 발표■ 세계 경제 동향 - 미국 1월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PCE price index) 발표■ 국내 경제 동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하■ 세계 농업·농정 동향 - 2023년 전국 농업법인 실태조사 보고서■ 국내 농업·농정 동향 - 농업수입안정보험 시행에 어려움 예상

  • 한국농업, 불확실성 속에서 희망을 찾자

    어려움은 미국 리스크이다. 20일 출범할 트럼프 2기 정부는 자국우선주의를 앞세워 보편관세를 10∼20% 인상하고 비관세장벽도 강화한다고 한다. 전세계가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하고 있어 걱정이다. 호조를 보이던 케이(K)-푸드 수출 증가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문제는 줄어든 농식품 수출량을 시장이 작은 국내에서 감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농식품 수출이 감소하면 수출농가와 식품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해 중소 규모 식품기업은 직접적인 피해를 받을 것이다.세번째 어려움은 기후위기가 일상화돼 커질 수 있는 농산물 수급과 가격의 불안정성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는 지난해 식품체감물가가 19.6% 상승했다고 느끼고 있다. 농산물 장바구니 물가를 안정시켜야 서민 경제에 보탬이 될 것이다.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서 유통시스템을 혁신하고,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농정의 최우선 순위에 둬야 할 것이다.이같은 어려움으로 농가는 유동성 위기(현금수입이 현금성 지출보다 부족)를 맞고 부채도 급증할 수 있다. 설비 투자로 부채가 많은 시설채소와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클 것이다. 농가의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면, 지역농협의 부실채권도 늘어날 것이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고품질과 고가의 농산물 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식품 원자재의 수입 의존도는 70% 이상으로 환율 인상으로 생산비가 상승해 식품산업의 수익성도 악화할 것이다.민관이 협력해 농업에 드리운 어둠과 외부 충격을 이겨내야 할 것이다. 정부는 농림축산식품 예산의 지출 시기와 구조를 조정해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반기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배정해야 한다. 농가 소득·경영 안정 지원을 확대하고 도시 빈곤층에 대한 먹거리 지원도 확대해 농축산물 수요를 늘려야 한다. 쌀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쌀 대신 콩·밀·사료작물을 재배하면 지급하는 전략작물직불금을 파격적으로 인상해야 한다. 고령농 세대 전환 촉진을 위한 농지 이양 은퇴직불제를 확대하고, 청년농 유입 증대를 위한 청년농직불제도 신규 도입해야 한다.농협도 상반기에 농가 지원 긴급자금을 편성하고 집행해야 할 것이다. 농협의 농업 지원 여력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는 비조합원의 금융사업 이용 한도 규제 등도 완화해야 할 것이다.우리는 한국전쟁을 극복했고, 국제통화기금(IMF) 구제의 금융위기도 이겨내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어둠 속에서 별은

멀티미디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