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홍성군 장곡면의 고령화 대응법
759
기고자 박준기

한국일보 기고 | 2023년 4월 14일
박 준 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우리 사회는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8.0%로 고령사회다. 가임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고령화의 정도가 더 가까이 다가와 있음을 실감케 한다. 특히 농촌의 면 지역은 주민의 29.9%가 65세 이상으로 이미 초고령사회다.


농촌은 젊은 층의 진입이 적어 도시보다 더 빠르게 고령화되고, 사회복지 인프라도 부족하다.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 등의 국가 복지 제도는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다. 이 제도들은 연금 추가 지원, 보험 혜택 확대, 노인 맞춤형 일자리 제공 등 사각지대를 점차 줄여 농촌 노인들 노후 생활 안정의 필요조건이 되었다.


이 정도면 충분할까? 전형적 농촌인 충남 홍성군 장곡면의 사례는 농촌 고령화 대응에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장곡면의 2022년 전체 인구 2,819명 중 75세 이상이 28.8%(811명)이다.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상당수다. 이들에게 당장 필요한 것은 일자리 혹은 문화서비스가 아니다. 지역 내 이동, 식사, 말벗, 간단한 수선, 세탁, 서류 처리 등 일상의 불편 해결이 우선이다. 생활 속으로 다가가는 돌봄이 필요한 이유다. 장곡면 주민들은 '생활돌봄119 활동'이라는 이름을 걸고 건강한 밥상 나눔, 병원 이동 지원 셔틀버스 운영, 낙상사고 방지 장치 설치 등 생활 밀착형 돌봄을 실천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사회보험 등 국가 지원 제도와 지역사회에서 생활 속으로 다가가는 돌봄이 함께 이루어질 때 시너지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농촌 노인들에게 다가가는 돌봄은 무엇보다 생활 밀착형이어야 한다. 고령자들 일상의 어려움을 면밀하게 살펴 적합한 도움을 제공하고, 특성별, 시기별로 일상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적시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 밀착형이어야 한다. 멀리 있는 친척보다 가까이 있는 이웃이 더 낫다는 말이 있듯이 고령자의 주거지 가까이에서 돌봄이 이루어질 때 효과가 크다. 일상의 어려움이 있는 고령자에게는 가까이에서 곧바로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사람 밀착형이어야 한다. 고령자들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애로사항은 의식주, 의료, 교통 등 대부분 대면 방식으로 해소해야 한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은 이웃에 있다.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과 역량을 알아보고, 주민들의 참여를 끌어내는 지역 활동가가 필요한 이유다.


사회복지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에서는 지역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결집하는 일이 특히 중요하다. 주민과 지자체가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내 돌봄 수요를 파악하고, 개인 및 공동체 단위의 돌봄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하며, 효과적인 운영 방식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주민이 다양하게 그리고 자발적으로 돌봄을 실천할 수 있게 권장해야 한다.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은 곧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다. 돌봄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다. 지역 내 고령자 돌봄 실천에 앞장서는 활동가를 비롯해 여러 주민이 각자의 몫을 찾아 동참토록 촉진하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농촌 노인들에게 국가의 복지 제도가 필요조건이라면, 현장에서 얼굴을 마주하는 돌봄은 충분조건이다. 지역사회에서 고령자의 필요와 어려움에 공감하고 다가가서 돌봄을 실천하는 따듯한 복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