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귀농·귀촌인구는 전년 대비 4.2% 증가했고 2017년 다음으로 많은 수를 기록함.
•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총 귀농·귀촌인 수는 515,434명으로, 전년에 비해 4.2% 증가함. 이는 2013년 현재 방식으로 통계 조사가 시작된 이래 2017년(516,81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임.
• 전국 1,404개 읍·면당 367명씩 인구가 유입된 셈이고, 인구 1만 명당 귀농·귀촌인 수도 2020년 95.4명에서 2021년 99.6명 으로 약 4명이 증가함...
2021년 귀농·귀촌인구는 전년 대비 4.2% 증가했고 2017년 다음으로 많은 수를 기록함.
•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총 귀농·귀촌인 수는 515,434명으로, 전년에 비해 4.2% 증가함. 이는 2013년 현재 방식으로 통계 조사가 시작된 이래 2017년(516,81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임.
• 전국 1,404개 읍·면당 367명씩 인구가 유입된 셈이고, 인구 1만 명당 귀농·귀촌인 수도 2020년 95.4명에서 2021년 99.6명 으로 약 4명이 증가함(인구총조사 기준).
귀농·귀촌 인구 증가에는 전원지향 정주 선호 등 가치관 변화, 도시 주택가격 이슈, 정책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침.
• 전원지향형 정주 선호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더불어 경제 불황기에 농촌으로 이주 경향이 높다는 점도 도시민의 농촌으로의 이주 경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2019년 말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도시 주택가격은 도시지역에서의 압출요인으로 작용해 농촌으로의 이주를 가속화함. 더불어 농촌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자체들은 시·군별 평균 귀촌인 수 및 증가율 모두 증가 추세를 보임.
귀농·귀촌인구 증가의 견고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귀농·귀촌 정책의 확장적 전환이 필요함.
• 농촌의 정주 기반을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한 전략임. 주택, 교육, 의료, 복지, 문화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농촌의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귀농·귀촌인을 유입, 정착시킬 수 있을 것임.
• 농촌 살아보기 체험, 워케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창업·창농, 취업·취농 등과 같은 촘촘한 일자리 연계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청년이나 베이비부머, 여성 등에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원해야 함.
• 아름답고 쾌적한 농촌을 조성해야 함. 주변 환경·경관과의 조화를 깨뜨리고 쾌적한 정주 여건을 저해하는 난개발이 만연한 상태에서 귀농·귀촌인구를 유입, 정착시키겠다는 발상은 난망한 기대에 그칠 수 있음.
• 누구나 쉽게 농업·농촌 정보를 구하고 농촌에서 살고, 일하고, 활동할 수 있는 지역 기반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필요가 있음.
• 잠재적 귀농·귀촌인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농촌에 대한 단순한 관심이 활동으로 이어지고, 농촌 기여 활동을 통해 교류하기, 정주하기로까지 단계적인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함. 농촌과의 관계맺기를 더욱 다양화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21173 | 7 | 1463 | 1 |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