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농정포커스

농정포커스

제4유형
  • 2024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 
						    2024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저자
    김수린 , 박혜진
    등록일
    2024.12.27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도시민 10명 중 7명은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를 높이 평가해
    • 농업정책 또는 농업·농촌 문제에 대한 평소 관심도와 관련성이 많다고 답한 도시민의 비율은 각각 30.4%, 23.2%에 불과하였으나, 도시민 다수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음.
    • 도시민 중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 및 보전하기 위한 추가 세금부담에 찬성하는 비율은 62.3%로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이었음. 특히 농촌복지 관련 예산 증액에 찬성하는 비율은 54.5%로 증가함. 자신의 거주지가 아닌 농촌일지...

  • 목차

    • 1. 도시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의식
      2. 농업인의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3. 올해 농업·농촌 주요 이슈에 대한 인식

    요약문

    도시민 10명 중 7명은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를 높이 평가해
    • 농업정책 또는 농업·농촌 문제에 대한 평소 관심도와 관련성이 많다고 답한 도시민의 비율은 각각 30.4%, 23.2%에 불과하였으나, 도시민 다수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음.
    • 도시민 중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유지 및 보전하기 위한 추가 세금부담에 찬성하는 비율은 62.3%로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이었음. 특히 농촌복지 관련 예산 증액에 찬성하는 비율은 54.5%로 증가함. 자신의 거주지가 아닌 농촌일지라도 복지 수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에 동의하는 도시민이 상당함을 보여줌.

    농업인 약 절반은 현재와 미래 농업·농촌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안정적 식량 공급’을 꼽아
    • 올해 기록적인 폭염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식량안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불안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농업인 스스로 안정적 먹거리 공급을 담보하는 일을 우리 농업·농촌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음.
    • 농업인의 전반적인 직업 만족도와 농사일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23.6%, 30.5%로 전년 대비 상승하였음. 그러나 여전히 농업인 2명 중 1명은 소득에 대한 불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남.
    • 농업인은 대체로 전년 대비 올해 농업 경영 여건은 악화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내년에는 더 나아질 것으로 전망하였음. 그럼에도 여전히 농업인의 약 60%는 생산비 부담이 올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였음.
    • 농업인의 전반적인 농촌 생활 만족도는 전년보다 소폭 상승한 27.7%로 나타남. 그러나 교육환경(12.8%), 대중교통(14.8%), 보건의료(17.3%) 등 필수적인 생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역대 조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함.

    올해 가장 주요했던 농식품 이슈로 농업인은 ‘기후변화’와 ‘자연 재해’를, 도시민은 ‘장바구니 물가안정’ 관련 이슈를 선정
    • 농업인과 도시민 각각 생산과 소비 주체로서 기상이변에 따른 농산물 수급 불안정을 둘러싼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보임.
    • 실제 농업인의 88.4%는 지난 3~5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영농활동에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음. 이는 전년도 보다 7.1%p 증가한 수치로, 생산량 변화(68.2%), 영농활동 어려움 가중(52.0%) 등을 지적하였음.
    • 도시민 10명 중 9명은 올해 장바구니 물가에 대해 비싸다고 평가하였으며, 59.5%는 내년에 장바구니 물가가 올해보다 더 오를 것으로 전망하였음. 농식품 물가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가장 시급한 조치로 ‘농식품 유통 구조 개선’(44.4%), ‘수급 및 물가안정을 위한 비축물량 확대 또는 방출’(13.8%) 등을 요구함.

    저자에게 문의

    김수린 이미지

    저자소개
    김수린
    - 부연구위원
    - 소속 : 삶의질정책연구센터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331 0 227 0 0
    • 
														    2024 지역발전지수 (Regional Development Index: RDI)

      2024 지역발전지수 (Regional Development Index: RDI)
      성주인
      2025.01.1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5년 10대 농정 이슈

      2025년 10대 농정 이슈
      동향분석실
      2024.12.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산물 시장개방화와 물가, 그리고 향후 과제

      농산물 시장개방화와 물가, 그리고 향후 과제
      정대희
      2024.10.2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남경수
      2024.04.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성주인
      2024.02.2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김수린
      2024.01.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4년 10대 농정 이슈

      2024년 10대 농정 이슈
      유찬희 외
      2024.0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상현
      2024.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정민국
      2023.11.1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김태후
      2023.10.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10대 농정이슈

      2020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0.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0.12.1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서홍석
      2020.09.1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서홍석
      2020.06.05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엄진영
      2020.05.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박미성
      2020.07.0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10대 농정이슈

      2021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1.01.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2025년 10대 농정 이슈
  • 이전글 농산물 시장개방화와 물가, 그리고 향후 과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