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6개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쌀 산업 현황 및 관련 정책과 한국의 국제협력사업 추진 현황을 검토하여 향후 이들 국가의 쌀 산업 부가가치화를 위한 맞춤형 협력사업 발굴 추진 필요
● 한국 정부는 2018년 8월 28일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를 출범, 신남방 정책 대상 국가들 중 동남아 6개국(이하 CLMVIP 국가)은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가이며, 중점협력분야로 농업분야가 포함됨.
● CLMVIP 국가는 2018년 기준 세계 쌀 생산면적의 21.8%를 차지하는 주...
동남아 6개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쌀 산업 현황 및 관련 정책과 한국의 국제협력사업 추진 현황을 검토하여 향후 이들 국가의 쌀 산업 부가가치화를 위한 맞춤형 협력사업 발굴 추진 필요
● 한국 정부는 2018년 8월 28일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를 출범, 신남방 정책 대상 국가들 중 동남아 6개국(이하 CLMVIP 국가)은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가이며, 중점협력분야로 농업분야가 포함됨.
● CLMVIP 국가는 2018년 기준 세계 쌀 생산면적의 21.8%를 차지하는 주요 쌀 생산 국가로 쌀 산업 관련 ODA 지원이 필요함.
동남아 6개국의 쌀 생산량 지속적으로 증가
●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쌀 생산량 연평균 증가율은 1%로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동남아 6개국의 쌀 수출량은 전 세계 쌀 수출량의 22.8%를 차지
●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는 쌀 수출국으로 볼 수 있음.
● 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하여 필리핀, 라오스의 쌀 수출량은 적은 편임.
그러나 쌀 생산성이 전 세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경쟁력이 비교 열위에 있어 관련 ODA 지원 필요
● 인도네시아, 필리핀: 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 필요(우수 품종 개발, 농자재 산업 지원, 기술보급 등)
● 베트남: 쌀 부가가치 제고 및 가치사슬 개선을 위한 지원 확대(RPC 등 저장 및 가공시설, 수확후관리 등)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쌀 고품질화 등 고급화 전략 지원 필요(유기농 쌀 생산, 쌀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가공 등)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117477 | 1 | 606 | 3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