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보고 (R964)
    저자
    엄진영 , 박기환; 윤종열; 허정회; 전무경; 권수현; 이효정
    등록일
    2023.03.3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일자리의 질 향상’, ‘일자리의 안정화’, ‘일자리·고용 안전망 강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는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의 핵심 키워드다. 이렇듯 일자리의 정책 기조는 일자리의 수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후생을 높일 수 있는 일자리의 질 제고 역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여건 변화 속에서 최근 농업부문이 직면한 청년 농업인 유입 속도 대비 고령층 농업 인력의 빠른 이탈 속도, 농업으로 유입된 인력의 높은 이탈률 등은 농업 일자리가 정부의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근로환경인지에 대해 세밀한 점검이 필요함을 일깨워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근로환경 개념과 일자리 지속성
      제3장 농업부문 근로조건 실태와 당면 문제
      제4장 농업부문 근로복지 실태와 취약성
      제5장 국내외 농업부문 근로환경 정책과 시사점
      제6장 농업 일자리 지속·안정을 위한 근로환경 개선과제

    요약문

    ‘일자리의 질 향상’, ‘일자리의 안정화’, ‘일자리·고용 안전망 강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는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의 핵심 키워드다. 이렇듯 일자리의 정책 기조는 일자리의 수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후생을 높일 수 있는 일자리의 질 제고 역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여건 변화 속에서 최근 농업부문이 직면한 청년 농업인 유입 속도 대비 고령층 농업 인력의 빠른 이탈 속도, 농업으로 유입된 인력의 높은 이탈률 등은 농업 일자리가 정부의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근로환경인지에 대해 세밀한 점검이 필요함을 일깨워 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정부의 ‘혁신적 포용국가 일자리 정책’ 및 ‘안정적·지속적 근로환경 조성’의 정책 기조 아래 농업부문의 일자리 확장과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개선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쳐 수행하는 연구의 2차년도 연구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일자리의 안전망 강화와 근로환경 개선에 필요한 정책과제 발굴에 초점을 두어 농업부문의 근로환경 실태분석을 통해 당면 문제를 적시하고, 국내외 농업부문 근로환경 정책과 사례를 면밀히 파악한 후, 이를 기초로 농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안정적·지속적으로 안착하는 데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엄진영 (Eom, Jinyoung)
    - 연구위원
    - 소속 : 농산업혁신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825 0 117 0 0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김상효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정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유도일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서대석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 및 운용 2022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 및 운용 2022
      김태후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유찬희
      2020.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엄진영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김종진
      2020.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문한필
      2020.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유찬희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 이전글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