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자료 (D457)
    저자
    김용렬 , 남숙경; 박혜진; 송성환
    등록일
    2018.08.08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우리 연구원은 농업·농촌 및 농정 이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매주 국내외 농업·농촌 정책동향, 연구동향, 언론동향, 현장의견 등을 수집하고 농업 관련 현안 문제에 대한 최근 정보, 대책방안 등을 전달하는 주간농업농촌동향을 발간해오고 있다.

    클라우드 슈밥 교수가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란 화두를 던진 이후,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AI,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 기술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 시기가 도래하였고, 이런 변화가 농업·농촌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미칠...

  • 목차

    • 제1장 분석개요와 키워드 분석
      제2장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주요 이슈

    요약문

    우리 연구원은 농업·농촌 및 농정 이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매주 국내외 농업·농촌 정책동향, 연구동향, 언론동향, 현장의견 등을 수집하고 농업 관련 현안 문제에 대한 최근 정보, 대책방안 등을 전달하는 주간농업농촌동향을 발간해오고 있다.

    클라우드 슈밥 교수가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란 화두를 던진 이후,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AI,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 기술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 시기가 도래하였고, 이런 변화가 농업·농촌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여러 국가들이 전 분야에 걸쳐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정책을 시도하고 있고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하는 사회‧제도, 산업‧경제, 과학·기술 전 분야의 변화에 맞춰, 각 분야가 긴밀히 연계된 종합 정책을 통해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2017년 매주 발간된 주간농업농촌동향 자료를 근거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되는 농업·농촌 정책, 연구, 국내외 언론동향 자료들을 수집·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워드 클라우드 방식과 4차 산업혁명 및 농업과의 연관키워드 분석, 감성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정보

    김용렬 이미지

    저자소개
    김용렬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김용렬 이미지

    저자소개
    김용렬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83810 7 2781 13 19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김상효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정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유도일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엄진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서대석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유찬희
      2020.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엄진영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김종진
      2020.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문한필
      2020.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유찬희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 이전글 2019년 신규 보조사업 적격성 심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