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경기도 특화작목 수급 및 경영분석 모델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 
						    경기도 특화작목 수급 및 경영분석 모델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농업생산유통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6-19)
    저자
    이용선 , 박미성; 서홍석; 김충현; 박한울; 박지원
    등록일
    2016.06.30
  • 이 연구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의 의뢰로 경기도의 특화작목인 고구마와 포도의 수요·공급 및 경영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구마는 과거 구황작물이나 전분용 원료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건강에 유익한 농산물로 인식되어 소비가 증가하였으며, 포도는 경기도에서 소득이 높은 작물의 하나로 평가된다. 고구마는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농업관측 대상 품목이 아니어서 수급 분석이나 미래 전망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포도는 FTA 폐업지원사업에 신청하고 6월까지 페원한 농가수가 전국적으로...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경기도 특화작목 수급 및 경영 현황
      제3장 수급 모형 개발
      제4장 경영분석 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제5장 소비자 선호 및 상품 속성 분석
      제6장 모형 운용·활용 및 관측정보 생성·확산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의 의뢰로 경기도의 특화작목인 고구마와 포도의 수요·공급 및 경영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구마는 과거 구황작물이나 전분용 원료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건강에 유익한 농산물로 인식되어 소비가 증가하였으며, 포도는 경기도에서 소득이 높은 작물의 하나로 평가된다. 고구마는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농업관측 대상 품목이 아니어서 수급 분석이나 미래 전망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포도는 FTA 폐업지원사업에 신청하고 6월까지 페원한 농가수가 전국적으로 3,215호에 이르지만, 경기도에서는 폐원 농가수가 53호에 불과하여 경기도 포도 농가의 경쟁력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경기도산 고구마와 포도의 수요와 공급이 어떤 요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 설명하기 위한 모형이 개발되었다. 수급 전망 모형도 개발되어 경기도산 특화작목의 수요와 공급 변화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경기도 특화작목 재배농가가 경기, 재배면적, 작황, 생산물 또는 투입재 가격 등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영성과를 모의실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개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선호하는 고구마나 포도의 특성과 상품·출하 특성별 가치도 판별하는 분석도 이루어졌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용선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61190 5 2 4 9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이두영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김상효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정민국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최병옥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정민국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김상효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이두영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정진호
      2021.09.1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메가 FTA의 경제효과 분석 방법론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연구
  • 이전글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