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유라시아 주요 국가 농업투자협력 활성화 방안 : 극동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정책연구(P) (P195)
    저자
    허장 , 성명환; 김경필; 이대섭; 이윤정
    등록일
    2014.05.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지난 2013년 10월 정부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한반도에서 유럽에 이르는 지역을 아우르는 개발과 협력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두 개 대륙이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그리고 “평화의 대륙”으로 이어질 것을 제안한 것이다.

    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제안을 기점으로 정부 각 부처가 이를 정책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시작하였고,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정책연구기관들과 함께 유라시아 5개국(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터키)을 순회하면서 정책토론회를...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해외농업개발협력 지원, 진출 현황 및 성과
      제3장 극동러시아 농업 현황과 투자협력 방안
      제4장 우즈베키스탄 농업 현황과 투자협력 방안
      제5장 우크라이나 농업 현황과 투자협력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지난 2013년 10월 정부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한반도에서 유럽에 이르는 지역을 아우르는 개발과 협력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두 개 대륙이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그리고 “평화의 대륙”으로 이어질 것을 제안한 것이다.

    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제안을 기점으로 정부 각 부처가 이를 정책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시작하였고,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정책연구기관들과 함께 유라시아 5개국(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터키)을 순회하면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 아래, 우리 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유라시아 국가 가운데 농업의 개발협력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세 나라를 선정하여 기초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협력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 연구의 중간결과는 각 국가를 맡은 연구진이 블라디보스토크와 타슈켄트에서 개최된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하고 그에 대한 토론을 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한편, 중앙아시아의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를 연구대상국가에 포함시켜, 향후에 개최될 정책토론회에도 대비하였다.

    유라시아 국가들은 각종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제도나 인프라가 미비하고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곡물과 채소, 과일 등 농업자원의 생산 잠재력이 높지만 이를 부가가치 증대로 성공적으로 연계하지 못하고 있다. 식량자주율을 높여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이들 나라와의 협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다.

    저자에게 문의

    허장 이미지

    저자소개
    허장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개발전략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3778 0 67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중국의 채소종자산업 동향과 관련 제도
  • 이전글 제주도 월동채소 6차산업화 지구 조성 및 운영 방안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