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저자
    지정훈 , 김상효; 이상현
    등록일
    2023.09.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본 연구는 정부의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정책에 따른 외식 소비 변화를 분석하여 코로나19에 대응한 소비촉진 정책의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소비 활성화 정책을 설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카드사의 결제 실적을 외식 활성화 캠페인에 응모한 소비자의 외식업 카드 결제실적과 응모하지 않은 소비자의 외식업 카드 결제 실적으로 구분한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식 활성화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했다. 분석 결과, 외식 활성화 캠페인은 소비자들의 외식업 소비를 늘리는 데...

  • 목차

    • 1. 서론
      2. 외식 활성화 캠페인
      3. 분석 모형
      4. 분석 자료
      5. 분석 결과
      6.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정부의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정책에 따른 외식 소비 변화를 분석하여 코로나19에 대응한 소비촉진 정책의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소비 활성화 정책을 설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카드사의 결제 실적을 외식 활성화 캠페인에 응모한 소비자의 외식업 카드 결제실적과 응모하지 않은 소비자의 외식업 카드 결제 실적으로 구분한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식 활성화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했다. 분석 결과, 외식 활성화 캠페인은 소비자들의 외식업 소비를 늘리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대면 방식 캠페인의 효과가 대면 방식 캠페인의 효과보다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ption promotion policies implemented in response to COVID-19 by analyzing changes in eating out consumption following the Korean government's 2020 Eating Out Promotion Campaign (EOP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signing similar consumption promotion policie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we analyzed panel data on the restaurant card payment records of card companies, separating consumers who participated in the EOPC an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EOPC. The findings show that the campaig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eating out consumption.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of the non-face-to-face campaig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face-to-face campaign.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지정훈 (JI, Jeonghun)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지정훈 (JI, Jeonghu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122 0 48 0 0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석준호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창식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용희원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민기채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윤찬미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김동훈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 이전글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