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저자
    승준호 , 콘도 타쿠미
    등록일
    2022.09.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한국과 일본은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양국의 밀, 옥수수, 콩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이 가장 높게 유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는 미국의 곡물 수출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의 존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선형 ARDL모형을 이용하여 가격전이 실태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농가수취가격과 수출가격의 전이에서 비대칭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국의 국내 곡물가격 및 수출가격과 경쟁국의 수출가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비대칭적 가격전이 현상을 제거하기 ...

  • 목차

    • 1. 서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한국과 일본은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양국의 밀, 옥수수, 콩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이 가장 높게 유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는 미국의 곡물 수출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의 존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선형 ARDL모형을 이용하여 가격전이 실태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농가수취가격과 수출가격의 전이에서 비대칭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국의 국내 곡물가격 및 수출가격과 경쟁국의 수출가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비대칭적 가격전이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잔여 수요 모형 추정 결과, 미국은 한국에 비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일본의 옥수수와 콩 수입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갖지만, 한국 시장에 대한 미국의 시장지배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과 다르게 우리나라의 곡물 수입시장에서는 미국과 여타 수출국과의 경쟁 구조가 형성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Korea and Japan rely on imports for most of the grain except rice, and the U.S. has maintained the highest shares of wheat, corn, and soybean import markets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asymmetric price transmission and market power that could occur in the U.S. grain export process targeting Korea and Japan. The results of asymmetric price transmission analysis using a nonlinear ARDL model show that, in the long run, when domestic prices (received by farmers) of wheat, corn, and soybeans in the U.S. increase, the impact on export prices to Korea and Japan is greater than when they decrease. Through the long-run asymmetry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ymmetry in the domestic and export price transmissions of wheat, corn, and soybeans in the U.S. Also, in the short ru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asymmetry in the domestic and export prices of wheat and co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onitoring of domestic and export prices of the U.S. to eliminate asymmetric pric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idual demand model estimation, residual demand elasticity was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corn and soybeans of Japa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U.S. has market power in the corn and soybean import market of Japan,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imports compared to Korea, but does not have market power in the Korean market. This suggests that, unlike Japan, in Korea's grain import market, there is a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the U.S. and other exporting countries.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승준호 (Seung, Junho)
    - 부연구위원
    - 소속 : 곡물경제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승준호 (Seung, Junho)
    - 부연구위원
    - 소속 : 곡물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073 0 285 1 5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윤찬미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김동훈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홍연아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이정민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민선형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이용건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 이전글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