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4월 30일 USDA 기후작황보고서 | 날짜 | 13-05-01 22:09 | 조회수 | 1,572 | 작성자 | 최수진 |
---|---|---|---|---|---|---|---|
□ 미국 농업 요약(4/22~4/28) 금주 태평양 연안지역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나 그 외 지역의 기후는 평년보다 서늘했다. 특히 대평원의 기온은 평년보다 화씨 9도 이상 낮아 작물의 생육발달속도 및 밭작업속도가 지연되었다. 콘벨트 남부에는 폭풍전선으로 인해 호우가 내렸다. 옥수수: 4월 28일 기준 파종율은 5%로 전년 동기대비 44%p나 느리고 5년 평균 대비 26%p 느린 수준이다. 즉 파종작업은 전년 동기에 비해 3주 느린 상황이다. 이는 1984년 이후 최저수준이다(그림 참조). 최근에 내린 비가 2012년 가뭄으로 고갈되었던 토양수분을 보충해주는 이점이 있었으나, 과도하게 습한데다가 기온이 평년보다 낮은 수준이어서 중서부의 대부분 지역에서 밭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옥수수 발아율은 2%로 전년 동기대비 12%p 느리고 5년 평균 대비 4%p 느린 수준이다. 겨울밀: 4월 28일 기준 출수기(heading)에 진입한 겨울밀은 14%로 전년 동기대비 41%p 느리고 5년 평균 대비 15%p 느린 수준이다. 금년 봄 기후가 서늘하여 작물의 생육발달속도가 느리다. 대평원 중부 및 남부, 미시시피강 유역 중부 및 하부에서는 출수가 늦게 이루어지고 있다. 좋음/아주좋음 등급은 33%로 전주대비 2%p 하락하고 전년 동기대비 31%p 낮은 수준이다. 봄밀: 4월 28일 기준 파종율은 12%로 전년 동기대비 58%p 느리고 5년 평균 대비 25%p 느린 수준이다. 노스다코타는 기후가 양호하여 금주 동안 파종작업이 2% 진행되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쌓였던 눈이 급속도로 녹아내리고 지속적으로 기후가 서늘하여 밭작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4월 28일 기준 발아율은 3%로 전년 동기대비 23%p 느리고 5년 평균 대비 7%p 느린 수준이다. 쌀: 4월 28일 기준 파종율은 44%로 전년 동기대비 28%p 느리고 5년 평균대비 13%p 느린 수준이다. 아칸소주는 주말에 비가 오고 기온이 평년보다 낮은 수준이나 파종작업이 꾸준히 진행 중이다. 발아율은 24%로 전년 동기대비 35%p 느리고 5년 평균대비 11%p 느린 수준이다.
□ 겨울밀 냉해 속보
3월 말부터 일련의 한파가 일어나 고원 중부 및 남부의 적색경질밀 작황이 냉해를 입었다. 4월 28일 기준 약 1/3의 적색경질밀이 나쁨/아주나쁨 등급을 받았다(Texas 68%, Colorado 54%, South Dakota 51%, Nebraska 44%, Oklahoma 41%, Kansas 39%). 특히 텍사스 주의 작황은 급속히 나빠졌는데 이 지역 밀의 3월 31일 나쁨/아주나쁨 비율은 49%였다. 한파가 겨울밀 생육발달시기의 후기에 발생했기 때문에 밀은 피해에 더욱 취약했다. 4월 28일 기준 마디를 형성한(jointing) 밀의 비율은 캔자스주에서 53%, 오클라호마주에서 92%였다. 4월 28일 기준 출수기(heading)에 진입한 밀의 비율은 텍사스주에서 45%, 오클라호마주에서 21%였다. 한파는 4월 24일 최고조를 이루었으며 이 시기의 역대 최저기온을 기록했다. 특히 텍사스 주 Dalhart(17°F), Amarillo(20°F)의 기온은 기록상 4월 12일 이후 발생한 적 없는 최저수준이었다.
□ 중서부지역 하천 범람 속보
대부분의 중서부지역에서 하천 수위가 최고조를 기록했다가 4월 말부터 하락하고 있다. 4월 20일~23일 미시시피 강 수위(일리노이주 Moline 남부에서 미주리주 St. Louis 북부에 이르는 지점 기준)는 역대 다섯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미시시피 강의 여러 지류에서 범람이 발생했다. 또한 미시간호로 흘러들어가는 Grand River도 전례없이 높은 수위가 기록되었다. 4월 말 중서부지역에서 물이 빠지기 시작하는 시점에 기후가 온난해져 미국 중북부에 쌓였던 눈이 녹아내렸고 이에 홍하(Red River)에서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범람이 발생했다.
|
|||||||
첨부파일 | 첨부파일 : 4_30bulletin.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