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2014년 11월 14일

[동정] 한·중 FTA 타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과 대책 정책세미나 개최

- 일시: 2014년 11월 14일(금) 15:00~17:30
- 장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      

[보도] 한·중 FTA 농업부문 영향 예상보다 크지 않을 듯
주요 농산물 대부분이 관세철폐 대상에서 제외, 국내 농업부문 영향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산 자급률이 낮고...

[뉴스]
한국농촌사회학회장에 박대식 박사 선임

[어명근 선임연구위원] 중국 고소득층 겨냥 농식품 수출 확대 전략 필요
[심재헌 부연구위원] 농업·농촌의 미래 성장 방향: 수직적 통합에서 수평적 연대로

한·중 FTA, 실질적 타결 선언 (11.10.) 외


※ 주요 내용

 - 농업보조금 지원 및 관리 강화
 - 201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 현황
 - IPCC 제5차 평가종합보고서 주요 내용

유라시아 주요 국가 농업투자협력 활성화 방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기점으로 극동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를 기초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협력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농업·농촌경제 동향 2014년 가을
쌀 관세화 전환과 수입 가능성, 수입쌀 유통현황 및 부정유통 방지 대책을 다룬다.

농기계산업의 발전 및 수출확대방안 토론회 자료

농기계 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관련된 기관의 주체적인 입장에서 발표한 토론회 자료를 수록했다.

영국, 농수산 식품시장 현황
베트남, 유제품 수입 증가
러시아, 물류창고 지방으로 규모 확장

[과일관측 11월호] 배 저장량 전년보다 7% 증가, 사과는 2% 감소 전망

[과채관측 11월호] 출하 원활하지 않아 풋고추 11월 가격 상승폭 클 전망

주간농정동향   세계농업   농업관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