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4차산업혁명이 불러올 농산물 수급조절과 도매시장 변화
2069
기고자 김병률
농민신문 기고 | 2020년 7월 27일
김 병 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4차산업혁명은 농산물 수급조절과 농산물도매시장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물 유통의 전 과정에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같은 신기술이 적극 활용돼 기존과 확 달라진 구조를 만들 가능성이 높아서다.


우선 인공위성부터 폐쇄회로텔레비전(CCTV)·드론 등 다양한 관측장비를 이용한 정보 수집이 현실화하면 농업 관측의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각 관측장비는 온라인으로 촘촘히 연결돼 빅데이터를 쌓고, 빅데이터는 품목별 수급조절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다.


수급조절도 한층 더 수월해질 수 있다.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산지 입출고부터 도매시장·소비지에 이르기까지 이동 경로와 물량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전국 각지의 창고에 보관된 재고량, 산지조직과 유통인들의 도매시장 출하량 등도 파악해 가격 급등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대형 유통업체들은 사물인터넷으로 물류센터의 물량 수급을 통제하고, 빅데이터로 어떤 상품이 특정 시기에 얼마나 판매되는지 파악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농산물도매시장에서는 이미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1990년대 이래 농산물도매시장 거래는 경매가 기본이었다. 도매법인의 경매사가 경매를 주관하고, 중도매인들이 도매시장에 출하된 농산물의 품질 상태를 직접 확인한 후 경매를 통해 낙찰받는 방식이다. ‘현물 대면 경매’인 것이다. 최근엔 4차산업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이 발달하면서 상품을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도 경매가 이뤄지고 있다.


현물 대신 상품의 생산이력정보·품질정보·화상정보 등을 제공받아 경매를 진행하는 이른바 ‘이미지 경매’다. 유럽에선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일반화됐고, 일본 역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도 2015년 이미지 경매시스템을 개발해 지난해부터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의 일부 도매시장법인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와 농협은 인터넷을 통해 산지 농산물을 경매나 정가·수의 매매하는 ‘온라인 농산물 거래소’ 시범사업에 돌입한 상태다.


4차산업혁명에서 비롯한 거래방식의 다양화는 상물 분리 확산으로 이어질 것이다. 상물 분리는 상적인 거래와 상품의 유통이 분리된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물 분리는 물류 효율화를 촉진해 신선도가 생명인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 유통 비용을 대폭 줄여 소비자에게도 이익을 주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