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도시 농업' 키워서 도농 상생 앞당기자
6051
기고자 김창길
external_image 조선일보 기고 | 2018년 8월 20일
김 창 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2015년 도시 재생지역으로 선정된 서울 종로구 행촌권 성곽마을에선 주민들이 공동 텃밭을 일구어 푸성귀를 심고, 벌을 길러 꿀도 따고 있다. 도시의 토지와 자투리 공간을 활용해 농작물을 경작하는 도시 농업의 현장이다. 도시 농업은 이런 도시화 과정에서 몸과 마음에 건강을 주고, 작물을 가꾸는 재미와 나누는 행복, 먹는 즐거움을 제공하는 새로운 흐름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도시 농업 인구는 2010년 15만명에서 지난해 189만명으로 늘었다. 2016년에 활동한 도시 농업 공동체만 246곳이며 관련 연구단체는 37곳이다. 정부는 '도시민과 농업인이 함께하는 행복한 삶'을 목표로 2022년까지 도시 농업 참여자를 400만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도시 농업으로 도시민들이 직접 농사를 지어 먹을거리를 얻게 되면 농산물 판매가 줄어 농가 소득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 도시 농업으로 도농 교류가 확대되면 우리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시 농업은 생물 다양성 확보와 텃밭 체험 등을 통한 교육과 치유, 전통문화와 식문화 계승에도 효과가 있다.


일본에선 시민농원이라 불리는 주말농장 또는 텃밭 형태의 도시 농업이 활성화돼 있다. 독일은 20세기 초부터 도시 빈곤과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텃밭 정원인 클라인가르텐(Kleinegarten)을 조성해 전국에 현재 100만개 이상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도시 농업이 본격 발전하려면 더 많은 도시민이 도시 농업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 정비와 정보 서비스 확대 같은 기본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 도시의 녹지 부족과 환경오염, 사회적 소외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도 마련해야 한다.


도시 농업이 구체적으로 농업과 농촌, 농업인들에게 도움을 주면서 도농 상생(相生)이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연구기관과 민간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런 노력을 통해 도시 농업이 우리나라에서도 만개할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