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수출기능 활성화 필요하다
3277
기고자 김경필
농민신문 기고 |  2014년 3월 5일 
김 경 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정부는 2008년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을 수립해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인프라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전북 익산에 2016년까지 230만㎡(약 69만5700평) 규모의 식품전용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2020년까지 연구개발(R&D) 연구소 10개, 수출지향형 중심의 식품기업 150개를 입주시킨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전은 식품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집적해 수출을 지향하는 ‘글로벌 식품시장의 신(新)중심’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핵심 전략은 ‘수출거점화’와 ‘가공무역 기지화’다.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수출기능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중요 요인은 ‘얼마나 역량 있는 식품기업들이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입주하는가’ ‘ 연구개발 결과를 실용화시키는 사례가 얼마나 많을 것인가’ ‘생산제품을 동북아 등 해외시장에 성공적으로 수출할 수 있는가’ 세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식품기업들의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를 유도하려면 무엇보다도 기업수용성이 높은 수준으로 연구개발·제품생산 관련 하드웨어 시설과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입주기업뿐만 아니라 지역단위클러스터의 애로사항을 반영하는 창구 운영도 지역단위클러스터와의 연계성을 높일 방법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식품기능성 평가센터와 파일럿플랜트(시험공장) 시설은 현재 식품기업이나 지역단위클러스터의 경제적·기술적 한계 때문에 운영하지 못하는 고비용·고기술 시설을 지원함으로써 식품기업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유도해야 한다.

연구개발 결과의 실용화와 고부가가치 상품 생산 가능성을 높이려면 연구개발 투입비용과 마케팅 판매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연구개발 아이디어 제공 단계에서부터 파일럿제품(시제품) 생산, 국내 판매 및 수출단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컨설팅 과정과 관련 비용이 투입돼야 한다. 투입비용에 대한 책임과 성과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입한다면 투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과 원료조달, 제품생산 단계별 관련 주체들이 공동으로 출자법인을 설립·운영하는 것이다.

동북아 수출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수출상품의 원료 조달경로와 수출 인프라기반 구축 부문이다. 해외원료로 제조한 가공식품을 수출하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수출시장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국내 농업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반면 국내 농업과의 연계성을 높이려면 국내산 원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원료가격이 높아 국내 식품기업이 구입하기를 꺼린다. 따라서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을 개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연구개발과 상품화, 마케팅 단계까지 적극적인 컨설팅 지원을 해야 한다. 수출인프라 측면에서는 ‘엄격하고 까다로운 수출전문물류센터’가 도로·항만·항구 단계까지 순조롭게 연결되는 기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시스템 구축은 신선도와 안전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수출할 수 있는 중요한 경쟁력 제고 수단이기 때문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지원방식 역시 직접적인 재정지원보다 경영·시장·기술 등에 관한 정보와 지원, 인적자원 활용 부문에서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직접적이고 단기적인 양적 자금지원 방식보다 한단계 높은 질적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서 국가식품클러스터 참여 기업들이 다른 지역에서보다 사업을 지속하거나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인식시켜야 한다. 국가식품클러스터가 거대 중국시장 등 동북아시장과 세계 식품시장 성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농어업성장을 견인하려면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관련 기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