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 해법: 전처리 농산물 공급 확대
4505
기고자 최지현
KREI 논단| 2012년 12월 3일
최 지 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농산물은 어떠한 형태로 가공되느냐에 따라서 부가가치가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1kg에 2천 원인 국산쌀을 막걸리로 가공하면 6천 원, 즉석밥 7천 원, 쌀국수 8천 원, 약주 3만 원의 가치가 형성된다. 이처럼 국내 농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는 부가가치 자체의 창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현재 국내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는 미약한 수준이다. 식품제조업체의 국내산 원료농산물 이용비율은 가공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자급기반이 취약하거나 가격이 비싼 원료의 수입산 사용비중은 70% 이상으로 높다. 시장개방의 확대로 국내산 식재료의 가격경쟁력은 더욱 낮아질 수 밖에 없어 국내산 원료 사용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현실에 맞게 세울 필요가 있다.

 

  국내산 식재료의 가격경쟁력은 낮지만 식품제조업체나 외식업체의 안전하고, 고품질이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국내산 식재료에 대한 요구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처럼 식품기업의 유기농 식재료나 전처리 식재료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산지에서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외식사업체를 보유한 식품기업이나 프랜차이즈형 외식업체는 대규모의 식재료 조달을 요구하기 때문에 농가 개별 단위로 연계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농협, 작목반, 영농조합법인 등과 식품업체 간 연계를 추진해야 한다. 식재료를 공급하는 산지조직은 규모화하고, 조직화해서 외식업체가 요구하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춰야 한다.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가 지속성을 지니지 못하는 문제는 납품가격의 변동에서 찾을 수 있다. 식품기업은 연중 저렴한 가격, 가급적이면 고정가격으로 납품을 요구하고 있으나 산지에서는 적정한 가격 보장을 원하기 때문에 연계 이후에는 납품 약속 이행과 철저한 품질 관리로 지속적인 거래가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약재배에 따른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부와 식품기업, 그리고 생산자 조직이 참여하는 ‘(가칭) 계약재배 안정화 기금’ 등을 조성하여 일정한 손실을 보전해 주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최근 대형외식업체의 경우 원물 형태보다는 전처리·가공된 식재료를 구입하는 비중이 높고, 다양한 형태의 식재료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외식업체가 요구하는 기준과 형태의 전처리 농산물을 사전에 파악하여 공급하는 한편, 산지에서 전처리 상품을 먼저 개발하여 기업에 제공하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도 필요하다.

  

  국산 식재료의 사용 확대는 농산물 수급 안정에도 크게 기여한다. 농산물이 풍작으로 가격이 하락할 때에는 과잉물량은 건조, 냉동, 절임 등의 단순한 전처리과정을 거쳐 저장성을 높임으로써 원물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다. 산지는 적정가격으로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가능하고, 식품기업입장에서는 전처리 물량은 연중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지속적인 식재료 거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전처리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외식산업의 성장,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및 식품기업의 임금 상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는 주요 생산품목에 적합한 전처리 시설을 확보하고, 수확 후 관리, 저장, 냉동, 전처리 등의 신기술을 도입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