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도농상생의 동력, 귀농귀촌
3622
기고자 이동필
위클리공감 기고 | 2012년 10월 21일
이 동 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농어촌에서 인생 2막을 꽃피우려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공식집계에 의하면 귀농귀촌 가구는 2010년 4천 67호에서 2011년 1만 5백 3호로 급증했다. 이 가운데는 도시생활에서 쌓은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가진 은퇴자가 많지만 정보통신기술과 새로운 지식,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젊은이들도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시기에 접어들었고, 농어촌에서 대안적인 삶의 가치를 찾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앞으로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는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물론 우리 사회가 농어촌으로 향하는 이들의 발걸음을 주시하는 이유는 도시의 과밀문제, 높은 생활비와 경제난을 완화하는 동시에 농어촌의 공동화 문제에 대응하는 가능성을 귀농귀촌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토의 균형발전이란 명제하에 오랫동안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까딱도 않던 ‘이촌향도’ 현상이 무너지면서 서울과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가 농어촌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은 국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은 물론 균형발전과 삶의 질 향상이란 점에서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농어촌을 생각해 보자. 2011년 현재 2백 96만명의 농가인구 중 1백만명이 65세 이상이고, 총 1백 16만 농가 중 60세 이상 농가경영주가 63퍼센트나 된다. 융복합산업화나 경영 효율화는 고사하고 일손 부족으로 놀리는 땅만 늘어가는 실정이다.

 

  사람이 없으니 학교와 보건지소가 문을 닫고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이 뜸해지면서 생활 불편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다양한 지식과 경험, 기술과 자본, 네트워크를 가진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은 농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농업과 문화·관광을 결합한 새로운 융복합산업으로 농어촌 경제를 활성화하고 교육·문화·복지 등 여러 분야에서 주민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다.

 

  귀농귀촌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도시민도 마찬가지다. IMF외환위기 이후에 보았듯이 농어촌은 일자리뿐만 아니라 지나친 경쟁에 지친 심신을 달래주는 치유와 안식의 공간이다.

 

  결국 도시와 농어촌의 수요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따라 일자리 창출은 물론 농어촌 활성화와 도농 격차 해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행복이라는 시대적 화두에 답을 찾을 수 있다. 귀농귀촌을 위해 정부도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단지 농업인력 확보나 도시민 유치라는 양적인 성과에만 매달려서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귀농귀촌이 도농상생의 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도시민들이 지역공동체에 정착해 보람있는 역할을 하도록 정보제공과 교육·훈련 등 여건을 마련하고, 난개발과 위화감 조성 등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