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촌관광의 현 주소와 발전 방안
3981
기고자 박시현
농경나눔터 농정시선 | 2012년 4월호
 박시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03년 농식품부가 녹색농촌체험 마을을 지정한 지 근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 전에도 관광농원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이 있었지만 농식품부의 녹색농촌체험마을 지정은 농촌 관광이 농촌 활성화를 위한 중요 정책 수단으로 자리 잡은 계기가 되었다.

 

농촌관광 시장의 성장

 

  농촌관광은 그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농촌관광 공급시설이 대폭 증가하였다. 2012년 초를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녹색농촌체험마을 519개를 포함해서 약 1,000개가 넘은 정부 지정 관광마을이 있다. 지자체가 유사사업으로 개발한 농촌관광마을까지 합치면 전국에 약 1,900여 개의 농촌관광마을이 있다. 2005년 농가민박 등록제를 실시한 이래 약 1만 8천여 개의 농가민박이 등록되어 있다. 도시 자녀에 대한 농촌현장 체험학습활동을 통한 정서 함양을 위해서 도입된 농촌교육농장도 245개가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농촌관광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관광농원도 운영되고 있다.

 

  주5일 근무제 시행과 함께 도시민의 농촌지향 의식 고조에 힘입어 농촌관광 시장규모도 크게 증가하였다. 농촌관광 시장규모를 엄밀하게 추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지만 도시소비자들의 농촌관광 경험 횟수와 회당 지출규모를 토대로 추정한 농촌관광 시장규모는 2003년 926억 원에서 2011년 2,885억 원으로 세 배 이상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농업이 전반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농촌관광의 발전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농촌관광마을 정책 진단해서 정책 목표 수정해야

 

  농촌관광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노력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먼저 양적 공급 확대 정책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정부의 농촌관광 정책의 핵심은 농촌관광 마을을 지정하고 지원하는 것이었다.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농촌 관광으로 성공한 많은 마을이 등장하였다. 또한 성공한 마을이 사회적인 관심을 끌면서 농촌관광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과 수요가 증대하였고 이는 다시 농촌관광 시장규모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농촌관광 사업이 활성화되지 않는 마을도 상당 수 등장하고 있다. 이들 마을에서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치한 시설물이 유휴화되어 마을의 부담으로 작용하거나, 농촌관광 운영을 둘러싸고 주민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마을 대부분은 농촌관광을 할 여건과 역량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 지원에만 의지하여 무리하게 사업을 시작한 경우이다.

 

  향후 농촌관광마을 선정은 책임경영이 가능한 조직을 만들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마을로 한정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그동안의 농촌관광마을정책 성과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목표를 수정해야 할 것이다.

 

농촌관광 경영하는 주체 육성 필요

  

  관광은 그 자체가 서비스 산업이다. 농촌관광은 농가가 부업 차원에서 하는 농외활동이란 아마추어리즘(Amateurism)을 중요한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본질은 역시 서비스를 공급하는 행위이다. 농촌 관광이 스스로 자립하기 위해서는 농촌관광이 서비스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책임 아래 농촌관광을 경영하는 추진 주체의 육성이 중요하다.

 

  농촌관광 추진 주체는 스스로가 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시장에서 평가받으려는 체제를 만들어 가야 한다. 예를 들면 농가숙박시설의 표준화, 등급화, 예약 및 결제시스템의 개선과 이러한 업무를 스스로 담당할 수 있는 농촌관광경영자 조직 육성 등이다. 특히 조직화가 중요하다. 모바일 사회에서 소비자들은 관광시장에 대한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얻기 원한다. 농촌 관광을 담당하는 개별 주체들이 이런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하기란 쉽지 않다. 관광마을, 개별 경영자들이 조직을 만들어 보다 현실적인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농촌관광도 글로벌화에 대응해야

 

  글로벌화는 우리 생활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촌관광도 이제는 글로벌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최근 농촌관광 수요 확대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외국인 방문객의 유치는 농촌관광 시장규모를 확대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경제성장으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 관광객의 일부를 농촌으로 유도한다면 농촌관광 시장규모를 한 단계 올려 농가수익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참 모습을 외국에 알리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