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촌고령화 대응 급하다
3875
기고자 김병률
한국농어민신문 기고 | 2011년 10월 24일
김 병 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몇 년전 농촌지역 어느 면단위 마을 몇 곳에 연구원 직원들과 마을 전수조사를 나간 적이 있다. 마을 주민들 대부분이 고령농민들이고 젊은 농업인은 몇 안되는 현상은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일거다. 새삼 놀랄 일은 아니지만 약 100농가 정도 조사를 하면서 64%의 농민들이 관절염, 디스크, 팔, 다리 통증 등 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

 

대부분 독거노인…건강도 나빠

열 가구도 못되는 어느 마을에는 일할 수 있는 젊은 사람은 하나도 없고 대부분 홀로 사는 할머니이고 아파서 일할 능력도 없어 보였다. 노부부가 함께 사는 분들은 그나마 서로 의지가 되지만 그마저도 거동이 불편해 면 보건지소나 읍내 병원에 다니기가 어렵다고 한다.

얼마 전 농촌에 사는 독거노인이 돌아가신지 며칠 지나 발견됐다는 소식에 아마도 농촌에 부모를 두고 있는 도시민들 모두 충격을 받고 새삼 안부전화를 하거나 찾아뵈었을 것이다. 매일 안부전화를 해도 항상 걱정이 되는 심정은 누구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경남 어느 지역의 지역토론회에서는 노인돌보미 자원봉사자가 병든 농촌노인들에게 약을 타다주느라 바쁘다고 한다.

 

보건의료체계 열악…관심 필요

또 하나 놀란 일은 고령농가들을 위해 그 지역 마을에 50대 한분이 농작업 대행을 수년전부터 해오다 갑자기 돌아가셔서 농작업을 대행해 줄만한 사람이 없다고 한탄하던 소리를 들은 것이다. 지역의 고령농가들은 농기계를 이용하는 벼농사를 대부분 마을의 젊은 농군에게 작업대행을 맡기고, 수작업이 가능한 밭농사는 직접 짓고 있는 편이다.

농촌지역은 도시와 달리 보건의료서비스가 열악하다. 무엇보다 도시보다 훨씬 심각한 고령화와 노인건강문제를 겪고 있고 게다가 농촌에 같이 사는 자식은 거의 없고 농사일에 일찍 남편을 여윈 할머니들이 혼자 사는 독거노인들이 많아, 긴급의료체계가 각별하지 않다면 앞으로 5년, 10년 내 농촌에 심각한 상황들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정부에서는 나름대로 서민들을 위한 보건의료체계를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민간보건의료기관이 관심을 갖고 들어가기 어려운 농촌지역의 보건의료체계에 특별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의 평균적인 보건의료체계가 한계가 있다면 농림수산식품부와 합력해서 농촌의 보건의료, 특히 긴급의료체계를 세울 필요가 있다.

엉뚱한 생각일 수 있지만 필자는 농촌지역 1~2개 면단위에 한 대씩이라도 최첨단 앰블런스를 배치해 상시순회의료체계를 갖춰 도시 병원에 급하게 입원하거나 진료를 받을 고령 농민들을 실어나르고 주문한 약을 타다 드리고, 고령정도가 심한 독거노인들은 매일 방문안부를 묻고 해준다면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를 생각해 본다.

그렇게 되면 도시에 사는 자녀들이 매일 안부전화해도 불안한 심정을 안심시켜줄 수 있고, 누구보다도 농촌의 농민들이 얼마나 고맙게 생각할 것인가. 독거노인들 집 앞에 CCTV를 설치해 거동을 매번 살피는 수고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참에 기업들이 도농교류를 한다고 행사를 벌이고 있는 1사1촌운동을 다시 생각해 본다. 일간신문에 기업홍보도 하고 도농상생이라는 그럴듯한 모토도 중요하지만, 그 많은 1사1촌 기업들이 방문하는 마을에 진정 얼마나 혜택을 주고 있을까 반문해 본다. 농촌지역 마을에서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본다면 기업차원에서도 운동방식을 바꿀 필요도 있다.

 

농작업 대행 지원책 마련 힘써야

대기업 정도라면 농촌마을에 최첨단 앰블런스 수십대를 기부해도 큰 부담이 없을 것이다. 정부에서 농촌지역만을 위해 특별히 앰블런스를 보급하지 못한다면 기업들이 나서서 기부운동을 하는 것도 괜찮은 모습이다. 왜냐하면 농촌마을의 긴급의료서비스가 그만큼 절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농촌지역의 농작업 대행이 더욱더 늘어날 것으로 여겨지는데, 지역의 협동조합에서는 전문 농작업대행사업단을 만들어 고령농가들의 농작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2년전 들녘별 경영체지원사업이라 하여 일본의 마을영농과 같은 정책지원사업을 시작해 상당한 효과를 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기획재정부에서는 예산을 통제하고 있다고 한다.

농촌실정을 잘 모르는 기재부라고 하지만 농촌출신 공무원들이라면 고령농민들을 위한 농작업 대행사업과 들녘별 농작업을 모아서 규모있게 실시하려는 농민들의 영농조직화사업의 필요성을 적극 이해해 지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