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어촌 다문화가정 학생 특별대책 필요
3524
기고자 박대식

농민신문 시론 | 2010년 4월  23일
박 대 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해 오는 결혼이민자들이 2000년대 들어 급증하고 있다. 그 결과 취학을 하게 되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수도 최근 크게 느는 추세다.

 

교육과학기술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 다문화 가정의 학생수는 2005년 6,121명에서 2009년 2만4,745명으로 증가했다. 농어촌지역 다문화 가정의 학생수도 2009년 4월 현재 1만860명에 달해 웬만한 농어촌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을 손쉽게 만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제는 영·유아기에는 사회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다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점차 노출되기 시작한다. 관련 실태조사 자료들에 따르면, 상당수의 다문화가정 학생은 한국어가 미숙한 외국인 어머니와 생활함으로 인해 언어 발달이 더디고, 기초학력이 부진하며, 또래들로부터 따돌림과 차별을 당하는 것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은 앞으로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미래를 이끌어 갈 중요한 인적 자원이다. 이들의 성장 발전은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발전과 아주 긴밀하게 연계돼 있다. 따라서 우리는 농어촌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특별 대책을 다음과 같이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학교 측면에서는 정규교육 과정 속에서 일반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의 다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일반 학생이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다름’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문화 이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종 교과서 내용을 다문화주의적 시각에서 전면적으로 개정해야 한다. 농어촌 학교의 교사 및 직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과 연수를 실시하고, 다문화가정 전담교사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가정의 측면에서는 먼저 자녀교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 농어촌 다문화 가정의 아버지는 한국말에 능통하고 한국의 사정을 잘 알기에 자녀교육에 좀더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강요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측면에서는 이웃의 따뜻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생활 부적응 및 학습부진 등을 지원하기 위해 방과 후 교육, 지역아동센터(공부방)를 활성화하고,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역협의회’를 구성해 자녀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노력해야 한다.

 

국가적 측면에서는 다문화 현상이 농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영농 의지가 있으나 농업 기반이 취약한 다문화 가정에 농업생산 및 산업화에 필요한 농지, 기자재, 시설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농어업·농어촌의 사회적 역할 및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매스컴 측면에서는 농어촌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특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앞으로 10년 후에 나타날 수 있는 사회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개선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TV, 라디오, 신문, 인터넷, 잡지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