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어촌의 문화생활여건 개선해야
3958
기고자 박대식
농민신문 기고| 2009년  11월  2일
박 대 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가을을 맞아 지역축제나 각종 전시회와 같은 크고 작은 문화예술 행사들이 전국적으로열리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의 문화생활 여건은 여전히 열악하고, 대다수 문화예술 행사들은 농어촌 주민들의 실생활과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

 

공연, 전시, 문화·복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예술시설의 4분의 3 이상이 도시지역에 집중돼 있고, 농어촌 주민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관람률도 도시민에 비해 훨씬 낮다. 관련 실태 조사에 따르면 농어촌 주민이 2007년 기준 문화예술 행사에 만족하는 비율은 35.7%였다. 불만족의 이유(복수응답)는 ‘내용이 다양하지 못해서’(60.1%), ‘수준이 낮아서’(37%), ‘주변시설 부족’(23.1%), ‘행사횟수 부족’(21.6%) 등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농어촌의 문화여건에 대한 통계기반이 제대로 구축되지 못해 농어촌 여건에 맞는 정책을 개발·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예를 들면, 현행 ‘문화향수 실태조사’는 농어촌(군)지역 조사 대상자 수가 370명에 불과해 농어촌 전체를 대표하기 어렵다.

 

따라서 농어촌의 열악한 문화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어촌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생활친화형 문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지방문화원, 농협 등을 활용해 농어촌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마을회관과 경로당 등으로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농어촌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강화도 필요하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희망 대한민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문화 바우처(공연·전시 관람료 지원), 복지관광, 문학나눔 사업 등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농어촌 학교의 문화예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국악·연극·영화 등과 같은 분야의 문화예술 강사를 농어촌 학교에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문화예술 강사는 귀농·귀촌자, 인근 대학 또는 군부대의 관련 전공자, 문화예술 단체의 전문가 등을 자원으로 적절하게 활용하면 된다.

 

농어촌의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농요나 농악과 같은 전통문화예술을 발굴하고 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 전통문화를 계승할 주체를 육성하기 위해 지역에 구성돼 있는 전통문화예술 관련 각종 연구회, 보존회 등과 같은 조직을 육성해야 한다. 지역사회 전래의 생활과 풍습에 기초를 둔 지역 전통문화를 전승시키려는 노력과 지역 현실에 맞는 새로운 지역문화를 창조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농어촌지역에 특화된 맞춤형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농어촌 주민들의 문화생활 및 욕구에 대한 체계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현행 ‘문화향수 실태조사’는 농어촌지역의 조사대상자 수를 대폭 확대하고, 통계청·농림수산식품부·문화체육관광부 등이 협조해 ‘농어업·농어촌 총 조사’ ‘농림어업인 복지실태조사’ 등에서 농어촌 주민의 문화여가 향유실태 및 만족도 등에 대한 문항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농어촌서비스기준’의 운영 및 평가와 연계해 농어촌 문화생활 관련 통계기반도 체계적으로 구축돼야 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