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식품 위기 발생, '소통'과 '신뢰'
3742
기고자 황윤재
KREI 논단| 2009년 3월  31일
황 윤 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

 

소득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식품 선택이 식품의 양적인 면보다는 질적인 면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속에서 2000년대 이후 발생된 각종 식품 위해 사고는 소비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를 발생시켰다. 특히, 2008년에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멜라민 검출 등 일련의 식품 안전성 관련 사건으로 인해 식품의 안전성과 정부기관의 전반적인 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이 심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식품 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거나 불확실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확대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거나 과도한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가 소통되어야 한다.

 

최근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불신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리스크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은 본질적으로 개인, 집단, 기관 간 정보 교환 과정으로 현안이 되는 위해성의 내용, 위해관리를 위한 법적·제도적 내용 등 위험과 관련된 정보와 의견 등을 상호 교환하는 과정이다.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은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식품산업 및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정부는 심포지엄, 공청회 등 회의 개최, 인터넷 활용, 언론 공표 및 보도자료 배포, 전시회, 전화 상담 등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통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효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러한 수단과 방법이 아니라 정부에 대한 '신뢰'이다.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식품 위해 사고에 의해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저하됨에 따라 정부의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성공적인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설득과 함께 대화와 상호 이해의 과정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는 특히 정부와 국민들 간에 식품 안전성 관련 사항에 대한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생한 일련의 식품 안전성 사고에서는 대화를 통한 상호 이해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 식품 안전성 관련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대국민 홍보, 언론 발표 등 설득 프로세스를 동반하는 일방향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주로 이용함으로써, 오히려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과 정부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켰다.

 

2008년 우리나라의 최대 화두는 '소통'이었다. 소통은 언로가 막히지 않고 통하여 상호 간에 대화와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소통의 전제는 다름 아닌 신뢰이다. 식품 위기 발생에 대응하는 정부의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있어 다시 한번 이러한 소통의 의미와 전제조건을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