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식품산업 육성책, 국내농업과 연계돼야
7783
기고자 최지현
농민신문 시론| 2008년 03월 10일
최 지 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농업이 생산자 입장에서 본 먹을거리의 공급처라면, 식품은 소비자 관점에서 본 먹을거리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농업과 식품은 ‘먹을거리’라는 점에서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동일한 개념이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보면 새 정부가 농림부를 농림수산식품부로 확대 개편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소비자의 고품질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날로 높아짐에 따라 식품산업은 빠르게 성장해왔다. 식품산업의 총 매출액은 107조원으로 농림어업부문 생산액 36조원의 약 3배에 달한다. 이러한 식품산업의 여건변화에 대응하고 농업부문이 부가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정부는 최근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외식산업 육성, 연구개발(R&D) 지원, 한식의 세계화 등 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둔 식품산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식품산업 육성책이 국내 농업분야와 연계해 발전하지 않는다면 원료 농산물의 수입을 증대시켜 오히려 농업분야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식품 대기업의 국산 원료 사용비율은 가공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체로 10% 미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밀을 포함한 곡물류의 수입 원료 의존도는 매우 높다. 더욱이 최근엔 단순가공·냉동·절임 등 1차 가공형태의 수입 농산물이 식품제조 원료나 외식업체의 식재료로 사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산업 정책은 산지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푸드시스템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식품산업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생산에서부터 가공·유통·소비 과정을 포함하는 모든 푸드체인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파악해야 함을 의미한다.

 

산지에서 보면 세척·절단 등을 거친 전처리농산물의 외식분야 공급문제, 전통식품을 포함한 농촌지역의 식품산업 활성화 문제 등이 핵심 과제다.

 

산지에서는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축산물종합처리장(LPC), 미곡종합처리장(RPC) 및 산지 가공시설 등이 1차 농축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시설을 운영하는 생산자단체나 영농조합법인이 식품가공업체, 식자재 공급업체, 유통업체 및 외식업체와 유기적으로 연계돼야만 국내 농산물의 소비확대와 부가가치 제고가 가능하다. 따라서 식품산업 문제는 농식품 유통문제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식품산업의 정책대상으로 소비자도 중요하게 인식돼야 한다. 식품산업이 발전하려면 식품 소비 확대가 전제돼야 하므로 소비자에게 농식품에 대한 영양 등의 관련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홍보와 한국형 식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의 확대, 전통식품 인증, 유기식품 인증 등의 실효성 확보도 국내 농식품 소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식품산업 업무가 농정당국으로 이관돼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식품산업 정책이 농업분야와 접목해 결실을 보려면 관련 공무원과 학계 전문가뿐만 아니라 농업인·가공업체 등 시장 참여자가 대승적 차원에서 이기심을 버리고 다같이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