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중소 식품업체가 성장하려면 업체 간 플랫폼기반 협업 활성화해야
5800
원문

중소 식품업체가 성장하려면 업체 간 플랫폼기반 협업 활성화해야

  ‘중소 식품업체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통해 밝혀


식품제조업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2010년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 제조업 대비 매출액의 비중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품제조업체의 신규 창업체 수 대비 폐업 사업체 수의 비율이 전체 제조업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고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악화되는 등 중소 식품업체의 경영 상황은 악화되고 있어, 안정적 성장을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이용선 선임연구위원 등은 ‘중소 식품업체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를 통해 “식품제조업은 농수산업 등 연관 산업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지역경제에 대한 역할도 막중하다”며, “중소 식품업체의 경영실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식품제조업의 전체 제조업 대비 사업체 수 비중은 2016년 기준 14.1%로 2010년 대비 2.5%p 감소했으나, 식품제조업의 매출액 비중은 전체 제조업 대비 6.4%로 2010년 대비 1.3%p 증가했으며, 종사자수는 8.4%로 0.2%p 증가했다. 그러나 식품제조업체의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은 대기업 대비 영세기업이 17%, 소기업이 51% 수준에 불과하며, 수익성과 재무안전성 또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은 4%로 대기업보다 낮았으며, 부채비율은 165%로 대기업의 2배 수준이다. 중소 식품업체는 설비투자가 기존 설비를 보수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생산공정을 혁신하는 노력이 미흡하며 혁신 활동 시 타 기업이나 기관간 협력하는 업체도 10% 이하에 불과한 실정이다.  


중소 식품업체 8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소 식품업체는 경영 불안정성이 주로 유사업체 간 과잉경쟁(34.7%)이나 경기 침체와 저성장(30.1%)에서 초래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경영개선을 위해 마케팅 능력 개선(60.0%), 생산능력(설비투자) 확충(17.0%)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기업이나 기관과 협력·협업을 희망하는 업체는 전체의 71.7%이며, 이들은 중·대기업과의 협력을 원하며, 특히 공동마케팅과 기술개발·융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 식품업체는 협력·협업을 추진하고 싶지만 정보부족으로 협력 파트너를 찾기가 어렵고, 자금조달도 어렵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중소 식품업체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개별 기업의 역량을 강화하면서도 총요소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과잉경쟁구조의 완화, 기업 간 협력·협업 촉진, 미래대응력 제고, 정책 지원 연계 강화 등의 사회적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중소 식품업체가 전후방 공급망(SCM) 기업이나 동종 업체간 협력·협업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온·오프라인의 플랫폼(platform) 구축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소 식품업체의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소액 투자와 시장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을 활성화하고 식품 기계설비의 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유통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기업 간 협력·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농공상융합협 중소기업 지원사업이 다수의 동업종내 업체나 유통·외식 등 이업종 업체와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협업파트너를 탐색하거나 유휴 공장이나 기계설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과 협력촉진자(코디네이터)의 양성 지원이 식품업체의 협력·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