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병해충 영향 커, 사전대응 관심가져야
5708
원문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병해충 영향 커, 사전대응 관심가져야”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병해충 영향과 대응과제’ 연구 통해 밝혀



기후변화로 인한 병해충 피해 증가가 산림경영수익을 악화시키고, 불확실성을 높이는 등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동안의 병해충 방제가 주로 발생 후 조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적극적인 사전대응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안현진 부연구위원 등은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병해충 영향과 대응과제’연구를 통해“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산림병해충 피해율이 증가하고 피해 지역 범위 역시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사전 관리 강화를 통한 안정적인 방제성과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기후변화가 각 병해충별, 대상 수목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그 영향이 모두 동일하게 작용하지는 않지만, 몇 가지 방향성은 존재한다고 밝혔다. 우선 장기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병해충에 유리한 환경여건이 조성되고, 이러한 환경에 병해충이 잘 적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식 적합지 확장에 따라 그동안 일부지역에 집중되었던 피해가 점차 전국 권역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새로운 기주(숙주)수목의 피해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겨울 기온이 상승할 것이 전망됨에 따라 그동안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혹한 지역 및 고산지대 등에도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충 사망률이 감소하고 활동시기 확대로 인한 매개충 개체 수 증가도 전망했다. 건조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 등 병해충에 유리한 기후 조건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면 피해율이 크게 증가할 위험이 있다고 언급했다.


기상청의 RCP8.5 데이터(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고 지금처럼 계속해서 배출할 경우)에 따르면 한반도의 계절별 평균기온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100년에는 현재에 비해 평균 4°C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강수량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해 한반도의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병해충 피해율을 예측한 결과, 현재 제주도와 남부지역에 주로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채선충은 향후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북부지역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2050년 이후에는 경북, 전남, 전북지역에서도 피해율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2051~2070년에는 충남과 경기도 지역까지 피해가 심화되며, 2090년 이후는 강원도 일부를 제외한 전국에 재선충 피해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21세기 후반에는 강원도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이 재선충 피해의 영향권에 놓일 것으로 전망했다. 


참나무시들음병은 최근 주로 수도권과 경기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지만, 향후에는 기후변화로 수도권과 경기 지역뿐만 아니라, 수도권 북부 및 동·서해안 지역으로도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2050년대부터 점차 경남지역, 충청도 해안지역 및 전라도 해안지역의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지며, 2090년대에는 강원도 해안 일부지역도 피해를 입고, 충청도, 전라도 해안지역의 피해율도 내륙지역에 비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병해충 발병은 산림경영소득도 악화시키게 된다. 병해충 발병이 심해질 경우 산림경영에 따른 수익은 병해충이 없을 경우보다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를 하지 않을 경우 방제를 한 경우보다 수익이 더 빠르게 하락했고, 불확실성도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안 부연구위원은 그동안의 병해충 방제가 주로 발생 후 조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불규칙적인 방제 성과를 초래했다고 언급하며, 기후변화로 인해 병해충에 의한 불확실성과 경제적 손실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적절한 사후조치와 함께 적극적인 사전대응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사전 대응 강화조치로 △중점 관리대상 파악, △수목의 건전성 제고, △수종 개발 및 교체를 통한 병해충 저항성 증진, △환경지불금 지급을 통한 외부성 제거 등을 제시했으며, 사후 조치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로는 △참나무시들음병 고사목 즉시 처리, △소나무재선층 인위적인 확산방지 강화, △ 전염성이 낮은 참나무시들음병의 경우 산림경영수익 증진을 위한 감염목 활용 범위 확대 등을 제시했다.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