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문해교육 필요한 농촌 노인 절반 이상, 삶의 질 향상 위한 문해교육 절실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연구 통해 밝혀
5256
원문

문해교육 필요한 농촌 노인 절반 이상, 삶의 질 향상 위한 문해교육 절실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연구 통해 밝혀


세계 최고의 교육수준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상당수 국민들은 21세기 한국 사회가 문맹에서 자유로운 국가로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농촌 노인의 절반 이상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문자해득 능력 등을 일컫는 문해 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에 특화된 문해 교육 사업은 제한적이고, 농정 당국과의 연계사업도 부족한 상황이다.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마상진 연구위원 등은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연구를 통해“농촌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해교육이 절실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교육 인정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농업‧농촌 특성에 맞는 문해 교재와 문해 교사 육성‧조직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촌 노인 중 문해교육이 필요한 노인은 약 58%로, 100만여 명(기초문해교육 40만 명) 정도이고, 이는 농촌 마을당 29명, 읍‧면당 754명(기초문해교육 282명) 수준이다. 농촌 지역 중에서도 읍보다 면지역이, 성별로는 여성 노인에게서 수요가 많았다. 또한 이 같은 문해력 저하로 인해 농촌 노인 중 3분의 1 정도가 관공서, 은행, 우체국 등의 서류 작성과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처방전 이해나 공공 서비스 적시 이용 등에도 어려움이 있어 삶의 질 관련 서비스 전달의 효과성이 더욱 저하되고 있었다. 


실제로 문해는 농촌 노인의 사회 참여, 사회 공공서비스 이용 확률을 높였고, 건강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주었다. 문해가 가능한 노인은 비문해 노인보다 정치 참여에 관심을 가질 확률이 1.9배 높고, 농업·농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2.8배 높았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약 4.4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에 만족할 확률이 5배 정도로 높았다.


이에 반해 농촌 노인 비문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해 국가 정책에 있어서도 농촌 문해와 관련한 정부의 비전이나 목표는 부족한 상태이다. 2006년부터 교육 당국이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역량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촌에 특화된 사업은 ‘1면 1문해학교’의 시범 사업 하나 정도이고, 교육당국과 농정당국의 협력은 전무하다고 밝혔다.


마상진 KREI 연구위원은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의 기본 방향으로 ‘문해에 대한 정부(중앙, 지방)의 책무성 강화’, ‘문자해득 교육에서 벗어난 생애 역량 계발로 연계’, ‘농촌 노인 특성에 맞는 비문해 해소 방안 모색’ 등을 제시하며, “비문해로 인해 그동안 누리지 못한 개인의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 국가 책임하에 문해교육을 통해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첨부. 요약자료 1부


<요약자료>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가. 연구의 배경

○ 농촌 노인의 문해 실태, 문해와 삶의 관계, 문해교육 실태와 지자체 사례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문해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나. 용어 정의

○ 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문자해득 능력을 포함한 사회적·문화적으로 요청되는 기초생활 능력

- 4단계: 기초문해가 전혀 불가능한 비문해, 부분적으로 기초문해가 가능한 반문해,  기본적 읽기·쓰기·셈하기는 가능하지만 기능문해를 갖추지 못한 기초문해, 사회적·문화적 기초생활이 가능한 기능문해


다. 농촌 노인의 문해 실태

○ 문해 의미와 수준을 정의하고, 기존 통계 및 이 연구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농촌 노인의 문해 수준과 비문해원인, 비문해로 인한 생활 불편 등의 실태를 분석함.

○ 농촌 노인의 절반 이상(57.6%)이 문해교육을 필요로 하였고, 읍보다는 면지역, 남성보다는 여성노인의 비문해가 심각함. 농촌 노인의 1/3 정도는 삶의 질과 관련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비문해 노인의 경우 거의 이들 서비스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 인구총조사의 학력조사를 기반으로 보면 우리나라 농촌 노인의 3/4이 문해교육 잠재수요자(초등교육 32.2%, 중학교육 39.7%)이며, 도시에 비해 문해교육을 필요로 하는 노인 인구 비중이 농촌에 월등히 많음. 

- 농촌 지역 중에서도 읍보다 면지역에서 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 노인에게 문해교육 잠재수요가 많음.

- 농촌 노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농촌 노인 중에 실제 문해교육이 필요한 노인은 57.6%(기초문해교육은 21.5%)였음. 농촌 노인 1백만 명 정도가 문해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었는데, 농촌 마을당으로 환산하면 29명(기초문해교육 수요는 11명), 읍·면당 750명 수준임.


라. 문해가 농촌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 문해는 농촌 노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서비스 이용, 정보서비스 이용, 농업·농촌 서비스 이용 정도를 높였고, 정치에 대한 관심, 농촌 노인의 건강 인식, 자존감, 삶의 질 만족과 소득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음.

○ 문해 노인의 삶에 대한 영향력은 문해수준에 따라 다소 달랐는데 비문해에 비해 반문해나 기초문해 등 중간단계의 문해수준보다는 기능문해일 경우 더 높았음.

- 기능문해 노인이 정치참여에 관심을 가질 확률은 비문해 노인에 비해 1.9배 높았으며 농업·농촌 서비스 이용 확률은 2.8배 높았음.

- 비문해인 농촌 노인에 비해 기능문해 노인은 건강 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약 4.4배, 삶의 질에 대하여 만족할 확률이 약 5.0배로 나타났음.

- 농촌 노인의 자존감은 비문해 상태보다 기능문해 상태에서 2.2 증가했음.


마. 농촌 노인 문해교육 실태

○ 문해교육이 2000년대 중반 이후 국가사업으로 실시되고, 2016년 국가문해교육센터 설립으로 국가적 사업 추진틀이 마련되었지만 아직 농촌의 문해교육 정책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농정당국의 관련 사업은 전무한 실정임.

○ 문해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농촌 지자체 간의 격차가 큼. 실제 문해교육에 대한 요구량에 비해 공급량이 매우 부족하였고, 비문해자의 문해교육 참여비율은 5% 미만임.

○ 농촌의 문해교육은 마을별 찾아가는 문해교실과 문화·예술·건강 프로그램과 연계 등 비인정 과정의 형태로 제공되어 프로그램의 안정성, 품질 제고 필요성이 제기됨.


바. 농촌 지자체 문해교육 사례 분석

○ 문해교육이 활성화된 지자체와 비활성화된 지자체 비교를 통해 문해교육 활성화 촉발요인(국가사업, 지자체장의 의지, 담당공무원의 전문성·열정, 시민사회 역량)과, 문해교육 시스템 구축(지원조례 제정, 예산 확보, 전담조직 운영) 및 발전 과정(문해교원 육성 및 연수, 프로그램 확대 및 질 개선,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킹)의 특징을 도출함.


사.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 농촌 노인 문해력의 기본방향으로 ‘문해에 대한 정부(중앙, 지방)의 책무성 강화’, ‘문자해득교육에서 벗어나 생애 역량개발로 연계’, ‘농촌 노인 특성에 맞는 비문해 해소 방안 모색’ 등을 설정함.

○ 다음의 9가지 추진 과제를 제안함.

- 국가적 차원의 문해 정책의 개선 과제

    ① 문해교육의 비전, 영역 재설정, ② 쉬운 국어쓰기 운동, ③ 문해 관련 통계·조사 사업 개선

- 농정 당국의 책임 하에 농촌 삶의 질 정책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할 추진 과제

    ④ 농림어업인 삶의 질 계획 하에 문해 정책 추진·관리, ⑤ 농업·농촌형 문해교재 개발·보급, ⑥ 농촌 문해교사 양성·조직화·연수 지원

- 지자체 단위의 농촌 문해교육 활성화를 위한 추진 과제

    ⑦ 지자체 문해교육 추진체계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⑧ 문해에 대한 기본 인식수준 제고 및 문해교육 대상자 발굴 개선, ⑨ 농촌 학교를 통한 문해교육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