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도시농업, 공간 확보와 비즈니스 모델 발굴 필요
11129
원문

도시농업, 공간 확보와 비즈니스 모델 발굴 필요
‘농업가치 확산을 위한 도시농업의 역할’ KREI 생생현장토론회 개최



최근 도시농업이 복지, 일자리, 식생활 개선, 치유, 공동체의 사회 복원 등 다양한 공공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공간 확보, 참여자 편의 제공,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이  11월 8일  ‘농업가치 확산을 위한 도시농업의 역할’을 주제로 대구 수성구의 희망토 회의실에서 개최한 2018년 제6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에서 나왔다.


허주녕 KREI 전문연구원은 ‘학교텃밭 실태와 참여 효과’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을 활용한 도시농업은 2010년 104ha, 15만명에서 2017년 1,100ha, 190만명으로 늘었다”며, 도시농업을 더욱 활성화시킨다면 농업가치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며, 귀농․귀촌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밝혔다. 한편, 2015년 104ha로 정점을 찍은 학교 텃밭은 최근 감소 추세라며, 활성화를 위해 도시농업 전문가 컨설팅 및 관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농업체험과 함께 다양한 실습(요리 등) 교육텃밭 조성이 필요하며, 농업가치 확산과 식생활 개선을 위해 역시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텃밭 활동이 학생들의 식생활 개선에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주요 6개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학교 텃밭의 효과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평소보다 음식을 골고루 먹는다’고 밝혔으며, 서울, 부산, 광주의 어린이 77명이 학교 밖 어린이 텃밭 활동 참여 후에 ‘식생활 수업활동 후 개선효과’가 64.2% 증가했다고 밝혀 관심을 끌었다.


강영수 농업회사법인 희망토 이장은 ‘도시주말농장을 청년농부 귀농․귀촌 인큐베이팅 농장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강 이장은 “도시 청년들에게는 각종 귀농․귀촌 지원금 등의 정책보다는 농업이 직업으로서 매력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농업에 뛰어들 수 있는 기회를 도시에서 제공해야 한다”며, 농촌의 생산력과 도시의 소비력을 결합하는 매개체로서 청년농업인의 체계적인 육성을 강조했다.


정태열 경북대 조경학과 교수는 ‘대구시 도시농업 5개년 발전 계획’이란 제목의 발표를 통해 제2차 대구도시농업 육성 5개년 발전계획을 소개했다. 5개년 계획은 2022년까지 ‘생활 속 도시농업, 행복한 시민농부’를 비전으로, 도시농업 공간 확대, 참여계층의 다양화, 관련산업 육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도심에서 행해지는 도시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파트단지 내 주민 텃밭 조성 사업, 도시농업 가능 부지 실태조사 등의 세부전략 등을 소개했다. 한편, 대구시 도시농업의 문제점으로 텃밭에만 치우친 활동, 도심지 공간 활용의 어려움, 면적 및 텃밭상자를 과시하는 양적 확대 치중을 꼽았다.


발표 이후 김태곤 KREI 시니어이코노미스트의 주재로 토론이 이어졌다. 김지형 (사)대구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는 “도시농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보면 점점 귀농·귀촌을 생각하고 오는 분들이 많다”며, “도시농업이 귀농·귀촌의 통로로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농업·농촌의 가치를 알리고 사라져가는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작용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동현 ㈜ 팜큐브 대표는 “귀농·귀촌 시 도시농업에서 겪어보지 못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어 도시농업과 실제 농업은 구분되어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종효 희망토 대표는 도시농업에 있어 학교 텃밭 교육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학교 텃밭의 관리 문제를 제기했다.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전문가가 학교 농장을 관리해야 하는데, 학교에서 이를 관리할 인력이 부족해 해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순헌 송정초등학교 복지사도 텃밭 관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텃밭 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활동을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학교 텃밭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복지 대상 학생들이 텃밭활동을 통해 책임감과 협동심, 생명존중 교육에 도움이 되며, 식습관 변화에도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최이진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주무관은 “서울시는 2012년부터 학교 텃밭 조성을 시작해 올해까지 조성한 학교가 179개교이며, 조성 후 3년간 운영관리를 지원하는데, 지원이 끝난 이후에는 운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학교 텃밭을 만들어 가기 위해 ‘학교텃밭 운영지침’을 만들어 학교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학교가 예산을 세워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방과 후에 이뤄지는 텃밭 교육과 정식 교육의 효과는 전혀 다르므로, 정식교육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상미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농업연구사는 도시농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공원을 도시농업 공간으로 바꿔 운영하는 도시농업공원과, 신규 아파트에 텃밭을 조성하는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사는 보통 농업이라 하면 땅에서 농사짓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1차, 2차, 3차로 파생되는 직업들을 제시하고 농업과 관련한 미래지향적인 직업들을 계속 찾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손영기 대구광역시 농산유통과 사무관은 “대구시가 학교 텃밭조성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지원이 끊기거나 주도적으로 하던 선생님이 자리를 옮기는 경우 운영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며, “지속가능한 학교 텃밭 운영을 위해 도시농업 관리사 활용 교육비를 별도 편성하는 등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공영도시텃밭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우미옥 농식품부 종자생명산업과 사무관은 최근까지 1,600명 정도의 도시농업관리사가 배출되었는데, 이들을 조직하고 활동을 체계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도시농업관리사 등 전문 강사를 구해야 하며 도시농업관리사는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문제도 있는데, 내년에 종합정보시스템 사이트 운영을 통해 도시농업관리사로 등록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고, 향후 일자리 포털시스템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학교 텃밭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학교 텃밭체험 프로그램을 교육부와 협업해서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으로 시범사업을 시작했는데, 향후 더욱 확대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 관련 사진 보기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