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자원환경

    과제성격
    연구보고 (R485)
    저자
    오세익 , 김동원; 박혜진
    등록일
    2004.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요 약
    이 연구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일반국민(도시민)의 의식을 파악해 다원적 기능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대 도시 20세 이상 50세 미만의 성인 남녀 1천명을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민들이 느끼는 농업·농촌의 중요성과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상당 수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의 중요성 인식이 84.2%에 달했으며, 농업은 이미 상당 부분 개방되었고, 앞으로 국가 차원에서 식량안보를 위해 농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

  • 목차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2
      3. 주요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5
      제2장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개념과 논의 동향
      1.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개념 7
      2. 다원적 기능의 종류와 중요성 9
      3.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내외 논의동향 17
      제3장 농업의 다원적 기능 도시민 의식 조사 결과
      1. 조사 개요 18
      2. 조사결과 분석 22
      3. 조사결과 분석 종합 50
      제4장 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요도 인식 개인 특성 분석
      1. 분석방법 및 범위 55
      2. Ordered-response Probit 모형을 이용한 통계검정 56
      3. 개인 특성 분석 종합 및 시사점 63
      제5장 농업의 다원적 기능 대국민 홍보방안
      1. 농업의 다원적 기능 대국민 홍보의 필요성 66
      2. 농업?농촌 대국민 홍보 실태 및 문제점 68
      3. 농업의 다원적 기능 대국민 홍보 방안 69
      제6장 요약 및 결론 79
      부록 조사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86
      참고 문헌 96

    요약문

    요 약
    이 연구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일반국민(도시민)의 의식을 파악해 다원적 기능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대 도시 20세 이상 50세 미만의 성인 남녀 1천명을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민들이 느끼는 농업·농촌의 중요성과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상당 수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의 중요성 인식이 84.2%에 달했으며, 농업은 이미 상당 부분 개방되었고, 앞으로 국가 차원에서 식량안보를 위해 농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식이 95.3%에 달함으로써 개방과 관련한 도시민들의 농업에 대한 보호 의식은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원적 기능 중에서는 ‘환경 및 생태계 보전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꼽고 있으며, 나머지 식량안보 기능과 국토균형발전, 사회문화적 공익기능, 농촌 경관 보전 기능도 응답자의 80% 이상이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민들의 농촌관은 자신의 이해가 관련된 부분에서는 다소 소극적으로 변하여, ‘자식이 농업에 종사한다면 찬성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37.5%에 불과하고, 다원적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다는 도시민은 48.0%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 연구(박대식, 김정호 1999)와 비교해 보면, 현재에도 도시민들은 농업?농촌이 중요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으나 중요성 정도는 과거보다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산물 시장의 추가개방을 막아야한다’는 데에 동의하는 비율은 1999년 조사시보다 13.0%p 낮아진 70.9%로 나타나 농산물시장 추가 개방에 대해 도시민들은 어느 정도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있고, 다원적 기능 유지를 위한 세금 추가 지불 의사는 1999년 68.4%에서 2004년 48.0%로 5년 만에 20.4%p나 낮아져 도시민들의 농업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참여의사는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업·농촌의 중요성과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취약계층을 분석해 보면, 연령별로는 젊을수록, 특히 20대가 취약계층이라고 판단되며, 또 남자가 여자보다 긍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농촌생활 경험이 없고, 가족이 농사에 종사하지 않는 계층도 취약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들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지불 의사의 개인특성 분석(순서형 프로빗 모형-Ordered-response Probit Model)을 통해서도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적 의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농업?농촌의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리개발을 통해 기존의 정서에 호소하는 홍보방식에서 탈피해 가치를 알리고 설득하는 방향전환이 요구된다.
    농업?농촌에 대한 대국민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취약계층별로 적절한 홍보기법을 적용하는 한편, 주로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업정책을 알려오는데 치중했던 기존의 홍보 방식을 지양하고,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농업의 다양한 가치를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게 홍보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홍보 실천 방안으로는, ① 후계세대에 대한 다원적 기능 교육 확대 및 강화 ② 농촌주민과 도시민 교류사업 강화 ③ 전 국민 대상 농촌사랑 캠페인 전개 ④ 언론의 농업관 재정립 및 대언론 홍보 활동 강화 ⑤ 인터넷을 활용한 홍보강화 ⑥ 사회교육 프로그램 강화 등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오세익 (Oh, Seik)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6859 0 54 0 1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이정민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유찬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성재훈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