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농어촌 지역의 교통복지 서비스 확대 방안
  • 
						    농어촌 지역의 교통복지 서비스 확대 방안

    과제성격
    기타 (E20-2017-7)
    저자
    김정섭 , 김용욱; 민경찬; 박지숙
    등록일
    2017.12.30
  •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 대중교통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고령자들은 기본적 삶을 누리기 위한 이동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간단한 생필품을 사기위해 정류장까지 30분 이상을 걷고, 혹한과 폭염 속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볼 일을 본 후 다시 집에 돌아오면 3~4시간이 걸리는 현재의 상황은 농촌의 고령 주민에게 너무나 가혹한 현실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국토교통부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지원사업’, 전라남도의 ‘100원...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농어촌 대중교통 실태와 정책
      제3장 홍동면의 교통여건과 주민통행실태 조사
      제4장 홍동면 교통 서비스 개선 방안과 한계
      제5장 농촌 교통 서비스 정책 개선 방향

    요약문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 대중교통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고령자들은 기본적 삶을 누리기 위한 이동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간단한 생필품을 사기위해 정류장까지 30분 이상을 걷고, 혹한과 폭염 속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볼 일을 본 후 다시 집에 돌아오면 3~4시간이 걸리는 현재의 상황은 농촌의 고령 주민에게 너무나 가혹한 현실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국토교통부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지원사업’, 전라남도의 ‘100원 택시’ 등 지자체의 자체 사업들이 추진 중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 농촌과 낙후지역의 교통문제 해결이 선정되면서 농촌의 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농촌의 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특히, ‘주민주도형 교통복지 서비스’ 도입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의 취약한 교통 서비스 수준을 농어촌 버스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 사업들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충남 홍성군 홍동면을 사례지역으로 주민의 이동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주민주도형 교통복지 서비스’ 도입을 가정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농촌 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몇 가지 대표적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에 대한 문의는 학술정보팀으로 연락주세요. (061-820-2282,2215)]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정섭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3418 0 0 4 1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역농림업 발전사업 추진방안 연구

      지역농림업 발전사업 추진방안 연구
      장종익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KREI
      2018.01.24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9.07.26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KREI
      2018.03.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KREI
      2019.01.23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마상진
      2018.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김용렬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김병률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7 운용·개발 연구
  • 이전글 축산업의 구조개선 대책 마련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