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임산물 스마트 유통체계 구축 관련 타당성 분석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임산물 스마트 유통체계 구축 관련 타당성 분석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9-66)
    저자
    구자춘 , 석현덕; 변승연
    등록일
    2019.10.30
  • 임산물도 농산물처럼 소량으로 생산되고, 소량으로 소비되는 재화이다. 따라서 임산물에 수집부터 분산, 분배에 이르는 과정이 엄밀하게 조직화되어야만 생산자인 임업인과 소비자인 일반 국민의 후생이 더 두터워질 수 있다. 본 연구를 이를 위한 수단으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수단으로 불리는 빅데이터 기반의 임산물 스마트 유통체계의 도입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내 임산물과 관련한 제반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분석하여 유통체계를 엄밀하게 진단하는 한편, 빅데이터 플랫폼의 재료가 되는 데이터의 상태를 활용성, 정확...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임산물 유통체계 진단
      제3장 임산물 유통 관련 데이터 진단
      제4장 국내외 사례조사
      제5장 스마트 유통체계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임산물도 농산물처럼 소량으로 생산되고, 소량으로 소비되는 재화이다. 따라서 임산물에 수집부터 분산, 분배에 이르는 과정이 엄밀하게 조직화되어야만 생산자인 임업인과 소비자인 일반 국민의 후생이 더 두터워질 수 있다. 본 연구를 이를 위한 수단으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수단으로 불리는 빅데이터 기반의 임산물 스마트 유통체계의 도입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내 임산물과 관련한 제반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분석하여 유통체계를 엄밀하게 진단하는 한편, 빅데이터 플랫폼의 재료가 되는 데이터의 상태를 활용성, 정확성, 적합성, 시의적절성을 기준으로 따져보았다. 더불어 임산물의 경유율이 높은 대형마트와 도매시장 등에 대해 직접 조사하여 임산물 유통실태를 면밀히 파악하였다. 스마트 유통체계의 도입 여부는 완전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의 경제적 효과를 편익으로, 데이터 구축에 소요되는 예산을 비용으로 설정하여 따져보았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임산물의 적은 생산 규모, 품목별로 상이한 유통체계, 개선 여지가 많은 데이터 상태, 적은 비용 효과성을 고려했을 때, 당장의 시스템 도입은 불가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관련 통계의 검증 및 표준화부터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유통체계 운영에 이르는 긴 호흡의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구자춘
    - 연구위원
    - 소속 : 산림정책연구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0225 1 0 8 4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발간 보고서 요약집

      2022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
      2023.01.13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경제 제45권 제4호

      농촌경제 제45권 제4호
      KREI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
      김광선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KREI
      2022.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미·중 간 곡물 분쟁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미·중 간 곡물 분쟁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이두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농림업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KREI
      2018.01.24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9.07.26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마상진
      2018.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김용렬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KREI
      2018.03.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1/2차년도)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1/2차년도)
      박대식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KREI
      2019.01.23
      KREI 보고서

      더보기

    • 
														    정부의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체계 개선방안

      정부의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체계 개선방안
      이계임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김병률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일본의 농업인안전보험 및 수입보험
  • 이전글 포용성장을 위한 농업인 경영이양 지원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