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농촌 분야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현황과 확대 방안
  • 
						    농업·농촌 분야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현황과 확대 방안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자료 (D462)
    저자
    김병률 , 이명기; 허정회; 송성환
    등록일
    2018.10.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 소개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이후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최근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농업 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되면서 생산 및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분야가 변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서 4차 산업혁명의 적용 여부가 국가의 장래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기술들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특히, 로봇 공학, 인공 지...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대응 방향
      제3장 4차 산업혁명과 미래농업의 만남
      제4장 스마트팜 시설원예, 과수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사례와 발전 방향
      제5장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농업 R&D 융복합 적용 방안
      제6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농업 분야 핵심전략
      제7장 농생명자원의 바이오 소재화
      제8장 4차 산업혁명과 축산 스마트팜 기술 동향
      제9장 축산업 생산부문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사례
      제10장 빅데이터 기반 농식품 마케팅 전략
      제11장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농식품 유통부문 대응 방향
      제12장 ICT 기반 농식품 스마트 유통관리기술
      제13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식품·유통·소비 분야 주요 이슈 및 대응 방향
      제14장 산림부문의 4차 산업혁명 요소 기술 활용 전망
      제15장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산림서비스 산업 활성화 방안
      제16장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임업발전 및 산림복지 확대 방안

    요약문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 소개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이후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최근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농업 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되면서 생산 및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분야가 변화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서 4차 산업혁명의 적용 여부가 국가의 장래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기술들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특히, 로봇 공학, 인공 지능, 나노 기술, 생명 공학,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및 자율주향 자동차 등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농업에 적용되면서 농업생산성의 향상, 노동력 절감, 안전한 먹거리 생산, 유통의 효율화 등 산적한 농업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농업 생산 및 유통, 소비, 산림 및 임업 서비스 분야에 적용된 국내외 사례 및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적용 확대를 위한 분야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31999 7 2632 1 8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3/3차년도)
      김상효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 부문의 근로환경 관련 법률과 정책 해외 사례 - 유럽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정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국내외 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 방안
      유도일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엄진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
      서대석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 및 운용 2022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 및 운용 2022
      김태후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에 대한 2022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농업·농촌에 대한 2022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김동훈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유찬희
      2020.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엄진영
      2020.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세계 곡물시장을 중심으로
      김종진
      2020.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문한필
      2020.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
      유찬희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2019년 신규 보조사업 적격성 심사
  • 이전글 SDGs 달성을 위한 농림분야 ODA 중장기 전략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