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산유통
세계 각국의 농산물 유통체계는 유통환경에 따라 발전과정이 다르지만 산지와 소비지를 연결하는 도매유통이 어떤 형태로든 개입하는 것은 비슷하다. 도매유통은 생산의 규모화나 조직화 여부에 따라 국가에서 운영하는 도매시장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도매물류센터로 분화되었다. 도매시장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청과물의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해서 건립되었고 도매물류센터는 민간기업의 소비지 유통지배력과 사업형태에 따라 세분화되거나 전문화되어 성장해 왔다.
세계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한 많은 국가들은 소비지 인근지역에 도매시장을 설치하여 청과...
세계 각국의 농산물 유통체계는 유통환경에 따라 발전과정이 다르지만 산지와 소비지를 연결하는 도매유통이 어떤 형태로든 개입하는 것은 비슷하다. 도매유통은 생산의 규모화나 조직화 여부에 따라 국가에서 운영하는 도매시장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도매물류센터로 분화되었다. 도매시장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청과물의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해서 건립되었고 도매물류센터는 민간기업의 소비지 유통지배력과 사업형태에 따라 세분화되거나 전문화되어 성장해 왔다.
세계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한 많은 국가들은 소비지 인근지역에 도매시장을 설치하여 청과물의 수집과 분산과정에서 규모화를 달성하였으며, 다양한 가격발견 방식과 신선도 유지를 통해 청과물 유통을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소비지 농산물 유통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국가별로 농산물 도매시장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청과물 유통체계도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도매시장에 대한 위상과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2차년도 연구인 본 연구는 1차년도에 수행된 산지유통체계의 국제비교분석을 기반으로 도매단계에 대한 국제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세계 주요국의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청과물 도매유통체계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국제비교분석을 통하여 도매시장 본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시사점과 정책 개선 및 도매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70073 | 5 | 1251 | 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