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부문 바이오소재 산업의 현황과 과제
  • 
						    농업부문 바이오소재 산업의 현황과 과제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보고 (R815)
    저자
    박지연 , 안현진; 박영구
    등록일
    2018.02.14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현재 전 세계는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에너지 자원의 고갈 등 인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바이오산업이 주목되고 있다. 2013년 기준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 규모는 약 3천 억 달러로 매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바이오산업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연료,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식품 등이 미래의 인류와 경제문제 해결의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문제가 되었던 옥시 가습기 살균제 사태, 살충제 계란 파동, 유해 생리대 논란...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바이오소재 산업 현황
      제3장 바이오 및 바이오소재 R&D 실태
      제4장 바이오소재 산업화 현황 분석
      제5장 국내 바이오 및 바이오소재 관련 정책 동향
      제6장 해외 바이오소재화 사례와 시사점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요약문

    현재 전 세계는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에너지 자원의 고갈 등 인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바이오산업이 주목되고 있다. 2013년 기준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 규모는 약 3천 억 달러로 매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바이오산업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연료,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식품 등이 미래의 인류와 경제문제 해결의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문제가 되었던 옥시 가습기 살균제 사태, 살충제 계란 파동, 유해 생리대 논란 등은 기존 화학물질 사용의 문제점이 극단적으로 이슈화된 것이며 이러한 화학물질을 생명소재로 대체하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수요
    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바이오산업의 성장은 바이오산업의 원료인 생명자원, 특히 농생명자원을 제외하고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나 현실은 바이오산업 내 농업의 역할이 농업바이오로 한정되어 있어 바이오산업과 농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 및 육성정책은 다양한 부처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나 바이오산업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바이오소재로서의 농생명자원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바이오경제시대에 대응한 농업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미래성장산업화 진전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농업부문 바이오소재 산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위한 개선과제도 도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박지연 이미지

    저자소개
    박지연 (Park, Jiyeon)
    - 연구위원
    - 소속 : 신산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6254 0 915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김종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산림경영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 이전글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