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2010년 국제농업협력사업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0-43)
    저자
    허장 , 이대섭; 김용택; 김정승; 심재훈; 조우림
    등록일
    2010.12.01
  • 우리나라가 ’09년 OECD/DAC에 가입한 시점 전후로 유상 및 무상원조의 규모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15년까지 공적개발원조, 즉 ODA의 규모를 GNI 대비 0.2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금액상으로 ’09년 수준의 세 배에 달한다. 우리의 발전경험을 효율적으로 전수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 등 원조를 내실화하기 위한 선진화 방안도 마련되고 있다.
    농업부문은 저개발국이 발전의 긴 여정을 시작하기 위한 시발점이자 개도국 개발의 핵심 분야이다.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인프라를 개선함으로써 기아문...

  • 목차

    • 제1장 사업개요
      제2장 기획협력사업
      제3장 일반협력사업
      제4장 국제사회와의 공동협력사업
      제5장 국제심포지엄
      제6장 사업관리

    요약문

    우리나라가 ’09년 OECD/DAC에 가입한 시점 전후로 유상 및 무상원조의 규모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15년까지 공적개발원조, 즉 ODA의 규모를 GNI 대비 0.2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금액상으로 ’09년 수준의 세 배에 달한다. 우리의 발전경험을 효율적으로 전수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 등 원조를 내실화하기 위한 선진화 방안도 마련되고 있다.
    농업부문은 저개발국이 발전의 긴 여정을 시작하기 위한 시발점이자 개도국 개발의 핵심 분야이다.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인프라를 개선함으로써 기아문제, 즉 식량안보를 해결하고, 빈곤인구의 4분의 3이 거주하는 농촌의 종합적인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가난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06년부터 추진한 국제농업협력 사업을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 우리 연구원은 올해 초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를 설치하고 농식품부로부터 협력사업의 관리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해 왔다. 일반사업 10개와 기획사업 4개, 국제사회와의 공동사업 2개에 대한 사업발굴과 사업자 선정, 평가, 그리고 국제심포지엄의 개최, 홍보, 정산 등 짧은 기간에 간단하지 않은 일들을 숨 가쁘게 수행하여 왔다.
    이 보고서에는 이러한 관리업무의 수행 과정과 그 결과를 담았다.

    저자에게 문의

    허장 이미지

    저자소개
    허장 (Heo, Jang)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개발전략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3971 0 2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2010년 국제농업협력사업 평가
  • 이전글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Korean Agriculture and Its Counterstrategies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