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분야 고용현황 분석 및 인력수급 안정화 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임업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0-39)
    저자
    김병률 , 전익수; 윤종열; 민자혜
    등록일
    2010.12.01
  • 농업부문은 성장 정체, 농가인구 감소 등으로 전체 취업자 중 종사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도시와의 소득격차, 진입장벽(농지보유, 면허 등) 등으로 젊은 농업 후계인력 유입이 미흡하다. 또한 인력수요의 계절성 문제, 신규인력의 농업분야 비선호 문제, 다른 산업분야 대비 상대적 저임금 문제 등 많은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농업부문 인력수급의 양적·질적 불일치가 지속 또는 심화될 경우 고용문제가 우리 농업의 미래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므로 우리 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해 농촌인력의 안정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농식품분야 및 농어촌지역 고용현황
      제3장 농업인력 수급실태 조사·분석
      제4장 농산업체 외국인력 수요 추정 및 고용실태 분석
      제5장 농업인력정책의 이론적 접근 및 외국의 고용 제도
      제6장 농업인력 안정화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부문은 성장 정체, 농가인구 감소 등으로 전체 취업자 중 종사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도시와의 소득격차, 진입장벽(농지보유, 면허 등) 등으로 젊은 농업 후계인력 유입이 미흡하다. 또한 인력수요의 계절성 문제, 신규인력의 농업분야 비선호 문제, 다른 산업분야 대비 상대적 저임금 문제 등 많은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농업부문 인력수급의 양적·질적 불일치가 지속 또는 심화될 경우 고용문제가 우리 농업의 미래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므로 우리 농업의 미래성장을 위해 농촌인력의 안정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산업 부문의 고용구조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농업 또는 농촌의 고용 및 노동력 수급에 관한 현황 또는 실태 조사, 노동력 수급안정화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농축산업부문의 정밀한 고용 실태 파악을 위해 관련 통계의 심층 분석과 지역 오피니언, 농가, 농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전화설문, 우편설문)를 실시하고, 고용인력 부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문제점을 발굴하여 농식품 및 농촌지역의 인력 수급 불일치를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그동안 고용노동부에서 산업별 외국인 노동자 쿼터량 설정을 위해 실시해 왔던 산업별 경영체 조사에 누락되어 오던 농업분야 경영체 조사를 실시하여 농업분야 외국인 노동자 수요량을 추정하였다.

    저자정보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양념채소관측팀

    저자에게 문의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양념채소관측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6640 3 0 4 5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손학기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구자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손학기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구자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식품안전관리 시스템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이전글 국내외 농업부문 녹색성장 정책과 진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