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식품 중 위해물질의 위해관리를 위한 Risk/Benefit 분석 Model 개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07-07)
    저자
    이계임 , 김성훈; 이문호
    등록일
    2007.05.01

  • 소득수준 향상과 고령화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에 대한 구매요구는 더욱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화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신종유해물질이 증가하고, 교역량 증가에 따라 식품 위해사건이 광역화·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식생활에서 가공식품 및 외식 소비 증가 등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그동안 식품안전관리는 분산 운영에 따른 문제점 등이 지적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식품행정에 대한 소비자 불신과 불안이 식품사건을 증폭하여 과도한 사회적...

  • 목차

    •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총괄연구과제 연구결과

    요약문


    소득수준 향상과 고령화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에 대한 구매요구는 더욱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화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신종유해물질이 증가하고, 교역량 증가에 따라 식품 위해사건이 광역화·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식생활에서 가공식품 및 외식 소비 증가 등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그동안 식품안전관리는 분산 운영에 따른 문제점 등이 지적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식품행정에 대한 소비자 불신과 불안이 식품사건을 증폭하여 과도한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초래해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식품 위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정책 마련을 위한 경제성 평가 모형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위해요인 평가를 위한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경제성 평가모형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식품 위해물질의 분류와 위해성 평가현황을 검토하였으며, 경제성 평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편익과 비용 추정모형을 정립하였다. 위해물질의 종류에 따라 편익추정방법을 구분하였으며, 지불의사추정법과 질병비용추정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비용분석에서는 회계학적 접근법이 주로 적용되었으며, 위해관리제도 도입에 따른 정부 및 민간의 도입·운용비용을 포함하였다.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경제성 평가에 대한 사례분석에서는 단체급식 HACCP 도입과 사과의 발암 유발 가능 농약 관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경제성 평가 절차와 모형을 정립하고, 경제성 평가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위해관리시스템 구축방향을 제시하였다.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일차적으로는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정보비대칭성 제거와 정보탐색비용 절감을 통해 식품의 안전성을 제고함으로써 소비자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품 위해물질 관리정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은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위해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회적 후생을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계임 (Lee, Kyeiim)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식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2704 2 3 1 4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The abstracts of KREI reports 2006
  • 이전글 Action Plan for Two Rural Communities in Vietnam : 베트남 농촌 지역개발 계획 수립 능력 향상을 위한 컨설팅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별책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