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관측 품목모형 KREI-COMO 2005 개발·운용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토의자료(W) (W027)
    저자
    이용선 , 심송보
    등록일
    2006.0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농업관측 품목모형 KREI-COMO는 관측사업 대상 품목의 수급 분석을 위해 개발된 이후 간헐적으로 갱신, 운용되고 있다. 예측의 객관성과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는 자료의 정리에서부터 모형의 수정·변경, 예측결과의 평가에 이르기까지 매년 개선될 필요가 있다.
    KREI-COMO 2005는 2004년까지의 자료를 갱신하여 모수(parameter)를 재추정하였으며, 모형의 예측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함수 형태를 수정하고 경제이론과 생산·소비 실태를 반영하여 변수를 변경하였다. KREI-COMO 2005는 재배면적반응함수와 가...

  • 목차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범위와 방법 2
      제2장 KREI-COMO 2005의 구조
      1. KREI-COMO 2005의 기본 구조 4
      2. 재배면적반응함수 6
      3. 가격신축성함수 7
      4. 수입수요함수 8
      5. 이용 자료 8
      제3장 양념채소류 모형 추정
      1. 재배면적반응함수 10
      2. 가격신축성함수 13
      3. 수입함수 15
      제4장 엽근채소류 모형 추정
      1. 재배면적반응함수 17
      2. 가격신축성함수 21
      3. 수입함수 24
      제5장 과일류 모형 추정
      1. 유목면적반응함수 26
      2. 성목면적반응함수 28
      3. 가격신축성함수 30
      4. 수입함수 33
      제6장 과채류 모형 추정
      1. 재배면적반응함수 36
      2. 가격함수 39
      3. 수입함수 42

    요약문

    농업관측 품목모형 KREI-COMO는 관측사업 대상 품목의 수급 분석을 위해 개발된 이후 간헐적으로 갱신, 운용되고 있다. 예측의 객관성과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는 자료의 정리에서부터 모형의 수정·변경, 예측결과의 평가에 이르기까지 매년 개선될 필요가 있다.
    KREI-COMO 2005는 2004년까지의 자료를 갱신하여 모수(parameter)를 재추정하였으며, 모형의 예측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함수 형태를 수정하고 경제이론과 생산·소비 실태를 반영하여 변수를 변경하였다. KREI-COMO 2005는 재배면적반응함수와 가격신축성함수를 개선하였으며 수입수요함수를 포함하였다. 함수 추정을 위해 통상최소자승법(OLS), 가중최소자승법(WLS), 다항시차분포법(PDL), 그리고 이단계최소자승법(2SLS)을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추정한 품목별 재배면적반응계수와 가격신축성계수는 다음 표에 정리되어 있다. 양념채소의 재배면적반응계수는 대체로 0.15~ 0.35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고추의 재배면적반응계수는 0.50~0.64로 다른 품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엽근채소의 재배면적반응계수는 배추, 무, 봄·가을 감자는 0.13~0.25로 낮게 나타난 반면, 양배추, 당근, 여름감자 등은 0.47~0.7로 높게 나타났다. 과일류의 재배면적반응계수는 0.16~0.21으로 나타났으며, 과채류는 0.10~0.41 수준으로 나타났다.
    양념채소의 가격신축성계수는 -1.0~-2.6으로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근채소의 가격신축성계수는 대체로 -0.51~-0.79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 배추·무와 여름감자는 -1.23~-2.34로 크게 나타났다. 과일류의 가격신축성계수는 대체로 -0.50~-0.77 로 나타났으나, 감귤은 -1.46~-2.35로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채류는 -0.32~-0.71 로 나타났으나, 수박과 호박은 -0.79~-1.39로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용선 (Lee, Yongsun)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용선 (Lee, Yongsu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2400 1 49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3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23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김수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김종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Analysis of Korean Dairy Industry : Econometric Estimations of Supply and Demand, and Simulation Analysis of Policy Changes
  • 이전글 농업전망 2006 (II) : 세계속의 한국농촌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