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Comparison of production costs and world market adjustments to changes in trade policy for japonica rice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기타연구(M) (M064)
    저자
    이현옥 , Scott Rozelle; Daniel A. Sumner; 김명환;
    등록일
    2005.06.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미국의 자포니카쌀 생산은 캘리포니아 주 세크라멘토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재배면적은 45만?55만 에이커(1에이커≒1,224평), 에이커 당 생산량은 조곡 기준으로 3.6 - 4.0톤 수준을 유지해 오고 있다. 연간 쌀 생산량 2백만 톤 중 30 - 40%는 수출된다. UR 이후 일본이 캘리포니아 쌀의 주요 수입국이 되었다. 쌀 생산비는 연도별로 변동이 있으나 하향세를 보이고(실질가격) 있으며 최근의 톤당 벼 생산비는 220달러 수준이다. 중국의 자포니카쌀 생산과 소비가 1990년대에 4천만 톤 이상 늘어났으며...

  • 목차

    • PART 1. Cross-Country Cost Competitiveness of Japonica Rice Production with Emphasis on China
      Introduction 1
      I. Japonica rice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2
      a. Overview of U.S. japonica rice production 2
      b. Production cost of rice production 3
      II. Japonica rice production in China 9
      a. Brief overview of Japonica rice production in China 9
      b. Production cost 10
      III. Country comparison of production cost 17
      IV. Demand for and supply of Japonica rice and rice quality in China 19
      a. Demand for quality rice within China 19
      b. Supply of quality rice 20
      c. Possibility of China as an importer 20
      d. Price competitiveness 21
      e. Emergence of GM rice 22
      Appendix 23
      Reference 32
      PART 2. Economic Effects of Trade Policy Adjustments in the World Market for Japonica Rice
      Introduction 33
      I. The Global Policy Situation on Japonica Rice Trade 34
      II. The Global Policy Outlook: the DDA round of WTO negotiations 35
      a. Trade Policies 35
      b. Domestic Support Programs 36
      III. Analysis of potential policy adjustments in japonica rice 38
      a. A simulation model applicable to policy adjustments in japonica rice 38
      b. Empirical implementation 41
      IV. Policy Scenarios and Simulation Results 42
      V. Conclusions 44
      Appendix
      Baseline and parameter construction 48
      China 48
      Japan 49
      The United States 49
      Korea 49
      Rest of the world, exporting countries(ROWX) 50
      Rest of the world, importing countries(ROWI) 50
      Input data 50
      Reference 51

    요약문

    미국의 자포니카쌀 생산은 캘리포니아 주 세크라멘토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재배면적은 45만?55만 에이커(1에이커≒1,224평), 에이커 당 생산량은 조곡 기준으로 3.6 - 4.0톤 수준을 유지해 오고 있다. 연간 쌀 생산량 2백만 톤 중 30 - 40%는 수출된다. UR 이후 일본이 캘리포니아 쌀의 주요 수입국이 되었다. 쌀 생산비는 연도별로 변동이 있으나 하향세를 보이고(실질가격) 있으며 최근의 톤당 벼 생산비는 220달러 수준이다. 중국의 자포니카쌀 생산과 소비가 1990년대에 4천만 톤 이상 늘어났으며 수출량은 생산량의 5% 이하 수준이다. 중국에서 자포니카쌀 생산비는 1990년대에 증가하였으나 최근에는 감소하고 있다. 2002년도 톤당 생산비가 110달러 수준이다. 한국의 톤당 쌀 생산비는 660달러로 중국보다 6배 높은 수준이다. 국가별로 생산비에 큰 차이가 있는데 이는 주로 지가 차이에 기인한다.
    최근 중국의 쌀 생산 부문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고품질 자포니카쌀 수요가 늘었다는 점이다. 향후 소득 증가에 따라서 고품질쌀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할 수도 있으므로 중국의 자포니카쌀 수출은 한계에 직면할 것이다.
    일본의 쌀 시장이 확대되고 미국의 자포니카쌀 생산에 대한 보조금이 감축되는 경우 국제 쌀 시장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향후 10년 동안 미국이 자포니카쌀 생산 보조금을 50% 감축하고 한국과 일본의 수입량이 100% 늘어나는 것을 가정하였다. 미국의 자포니카쌀 생산량은 30% 이상 줄어들고 더 이상 수출이 불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의 수출량은 53% 정도 늘어나고 기타 국가들의 수출량도 14% 늘어나므로 국제 쌀 가격은 0.7%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쌀 시장은 국제 쌀 가격에 연계되지 않고 쿼터량 만큼 수입량이 늘어나므로 쌀 시장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군다나 쿼터량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으므로 장기적으로 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다. 향후 10년 동안 쌀 가격은 약 1%, 생산량은 최고 3.9%까지 줄어들 수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현옥 (Lee, Hyunok)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3133 0 5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부문 중심의 거시계량경제모형개발과 정책실험
  • 이전글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 부여의 의미와 우리 농업에 미치는 영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