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세계농업전망모형 Aglink 2004 운용·개발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토의자료(W) (W024)
    저자
    김배성 , 조성열; 이병훈
    등록일
    2004.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OECD Aglink 모형은 OECD 사무국이 세계 농업부문 중장기전망(10년 단위)과 주요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정책분석(세계 농산물 생산, 소비, 무역 부문)을 목적으로 회원국들의 협조하에 1993년 개발하여 운영해오고 있는 세계 농산물수급 부문균형모형(partial equilibrium econometric model)이다.
    OECD 사무국의 Aglink 모형을 이용한 전망이 그 동안 매년 전망하는 체계에서 금년(2004년)부터 격년 전망하는 체계로 개편됨에 따라 금년도에는 자료갱신과 더불어 새로 보완된 Aglink ...

  • 목차

    •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개요와 최종 목적 1
      2. 당해연도 연구의 목적 3
      3. 선행연구 검토 3
      4. 모형 도입 국가 및 품목 개요 5
      5. 도입 변수의 명칭 7
      제2장 Aglink 2004 세계 농산물수급 전망, 2004-2013 9
      1. 주요 거시경제 지표 가정 9
      2. 주요 농산물 세계가격 전망, 2004-2013 14
      3. 세계 곡물수급 전망, 2004-2013 18
      4. 세계 주요 축산물수급 전망, 2004-2013 26
      5. 세계 주요 낙농제품 수급전망, 2004-2013 35
      6. OECD국가의 농산물 무역전망, 2004-2013 39
      제3장 세계 쌀농업 현황과 전망 43
      1. 세계 쌀농업의 현황과 전망, 1995-2013 43
      2. 주요국의 생산현황과 전망 44
      3. 주요국의 소비현황과 전망 52
      4. 주요국의 수출입 현황과 전망 56
      5. 세계가격의 상승요인과 시사점 57
      제4장 중국 쌀수급 전망 및 수입변동 가능성 검토 59
      1. 중국의 쌀 수급 전망 59
      2. 중국의 쌀 수입 추이와 국제가격 전망 61
      3. 중국의 쌀 수입량 급증의 시사점과 향후과제 62
      제5장 광우병 발생에 따른 쇠고기 산업 파급영향 63
      1. 2003년 광우병 발생전후 쇠고기 수입현황 63
      2. 한육우 산지가격 동향 64
      3. 시나리오의 설정 및 가정 65
      4. 광우병 발생에 따른 쇠고기 산업 파급영향 65
      제6장 한국 쌀 모듈구조 검토 및 개선점 70
      1. 모형의 특성 70
      2. 모형의 세부 구조 70
      3. 개선사항 73
      제7장 향후 개선점과 과제 74
      부록 1. 국별 쌀 수급 현황과 전망 76
      부록 2. Aglink 2004 기본전망치 도출결과, 2004-2013 83
      참고 문헌 258

    요약문

    OECD Aglink 모형은 OECD 사무국이 세계 농업부문 중장기전망(10년 단위)과 주요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정책분석(세계 농산물 생산, 소비, 무역 부문)을 목적으로 회원국들의 협조하에 1993년 개발하여 운영해오고 있는 세계 농산물수급 부문균형모형(partial equilibrium econometric model)이다.
    OECD 사무국의 Aglink 모형을 이용한 전망이 그 동안 매년 전망하는 체계에서 금년(2004년)부터 격년 전망하는 체계로 개편됨에 따라 금년도에는 자료갱신과 더불어 새로 보완된 Aglink 2004 모형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한 전망과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망보고를 하지 않는 해에는 특정 현안에 대한 정책분석이 수행될 것이다.
    연구진은 OECD Aglink 모형에 대한 한국 사용자로서 지난 7월 20일 모형을 접수하였고, 이 모형에 대한 검토작업을 거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OECD 사무국의 Aglink 모형 운영과 그 필요성에 대응하여 진행되는 본 연구는 지속 추진과제로서 2003년(연구 1차연도)에는 Aglink 모형의 도입 및 운영의 배경과 필요성 제안, OECD 사무국과 한국의 Aglink 모형의 운용현황 소개, Aglink 모형의 구조 및 운용방법 소개, Aglink 2003 모형에 의한 세계농업 전망치 도출, Aglink 2003 모형에 의한 시험적 정책실험 수행 등 모형을 이용한 기초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차연도 연구로서 1차연도에 형성된 모형 운용 및 분석의 기초능력을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농업 및 농정의 환경변화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응용분석 실시 및 견고한 응용능력을 형성해나가고자 하는데 그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당해연도에 이러한 필요성과 목적하에 수행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총 7개장으로 구분되어 소개되었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를 수행하게 된 배경과 더불어, 지속해서 추진되는 본 연구의 최종목적 소개, 당해 연도 연구목적 소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그리고 Aglink 모형에 도입된 국가, 품목, 변수명칭 등이 소개되었다.
    제2장에서는 금년도 새롭게 보완된 Aglink 2004 모형을 통해 도출된 세계 농산물수급 전망을 주요 농산물 세계가격, 곡물부문, 축산물부문, 유제품부문, 그리고 무역부문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전망에 대한 주요 특징을 약술하고, 모형을 통해 도출된 전체 전망치는 부록에 수록하였다.
    제3장에서는 세계 쌀농업 현황과 전망분석 결과가 소개되었는데, 이 장에서는 먼저 모형을 통해 도출된 세계 쌀 소비, 생산, 재고, 가격 등에 대한 현황과 전망치가 소개되었고, 다음으로 주요국의 재배면적, 단수 등 생산현황과 전망, 주요국의 소비현황과 전망, 주요국의 수출입 현황과 전망 순으로 세계 쌀농업을 검토하고, 끝으로 세계가격 상승 요인과 검토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이 소개되었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 쌀시장 개방 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쌀농업에 초점을 두고, 최근 중국 쌀 수입량 급증 현황을 검토하고 이에 도출된 시사점이 소개되었다.
    제5장에서는 2003년 광우병 발생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결과가 소개되었는데, 분석은 먼저 시나리오와 분석을 위한 가정이 소개되었고, 다음으로 국내 쇠고기 생산부문, 소비부문, 그리고 국제가격과 국내 대체재(돼지고기, 가금육)에 대한 파급영향 등이 소개되었다.
    제6장에서는 한국 쌀 모듈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해야할 사항들을 발굴, 소개하였다.
    끝으로, 제7장에서는 Aglink에서 구분하고 있지 않은 세계 쌀에 대한 품종별 분석의 필요성과 Aglink 모형 안정성 검정을 위해 필요한 사후적 시뮬레이션(ex-post simulation) 실시방안 등 향후 추가적인 검토 및 연구가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여 향후과제로 제안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배성 (Kim, Baesung)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1563 0 10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ASMO 2004 운용·개발연구
  • 이전글 지역축제가 농촌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