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자원환경

    과제성격
    연구보고 (R441)
    저자
    김창길 , 강창용
    등록일
    2002.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1
      2. 연구 목적3
      3. 연구 범위와 방법3
      4. 선행 연구
      검토6
      제2장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의 구조
      1.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의
      기본개념9
      2.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의 기본구조11
      3. 지역단위 농업환경 분석을 위한 주요
      지표12
      제3장 지역단위 농업환경부하 분석
      1. 농업생태계
      물질순환의 이론적 기초15
      2. 지역단위 물질순환 구조18
      3. 지역단위 농업환경부하 분석
      방법21
      제4장 사례 연구: 양평군·진천군
      1. 양평군의 사례
      분석30
      2.
      진천군의 사례 분석50
      3. 사례 지역 분석의 종합적 평가71
      제5장 지역단위 농업환경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
      1.
      최적관리방안의 도입 및 운용74
      2. 전과정분석(LCA)의
      도입79
      3. 지역단위 자연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81
      4. '레인보우 플랜'의 벤치마킹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83
      5. 모형 정교화를 위한 자료 및 지표의 개발85
      제6장 요약 및 결론88
      Abstract91
      요 약
      농업환경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농학적·농공학적·환경공학적·경제학적 지식과 관련 정보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 주어진
      제약조건 하에서 선행연구결과와 관련 분야 전문가, 정책담당자 및 선도농업인 등의 심층면담 및 의견수렴을 거쳐 체계화된 농업환경모형을 기초로
      양평군과 진천군의 사례 분석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양평군의 경우 2000년 기준 작물의 양분요구량은 질소 1,172톤, 인산 513톤, 칼리 702톤으로
      NPK 성분 총량은 2,388톤이나 화학비료 사용량은 인산 1,152톤, 인산 409톤, 칼리 519톤으로 NPK 총량은 2,080톤으로
      나타났다. NPK 양분요구량에 대한 화학비료의 충족도는 87.1%로 작물의 양분요구량을 충족키 위해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양분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NPK 양분 총량 기준으로 132.7%의 과잉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과잉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지역단위 환경부하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인산 성분의 과다 투입으로 논밭 토양 모두 인산집적 문제가 심하여
      특별한 토양 및 작물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천군의 경우 2000년 기준 작물의 양분요구량은 질소 1,160톤, 인산 507톤, 칼리 687톤으로
      NPK 성분 총량은 2,354톤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화학비료 사용량은 질소성분의 경우 작물양분요구량의 61.9%를 초과한 1,878톤, 인산
      성분은 6.4% 초과한 539톤, 칼리 성분은 8% 초과한 742톤으로 NPK 평균 34.2% 초과한 3,159톤으로 나타났다. 화학비료와 함께
      가축분뇨자원화를 통한 양분 공급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과잉양분 공급도는 성분별로 질소 115.4%, 인산 110.7%, 칼리 83.7%로
      NPK 성분 총량 평균으로는 107.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정된 농경지에 과잉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이 지역의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환경부하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밭 토양에서 인산성분의 과다 투입으로 인산집적 문제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 특별한 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례 지역 모두에서 한정된 농경지에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자원화를 통해 과다한 양분 투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역학 제1법칙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화학적 비료 투입을 지속적으로 감축시켜야 하며, 또한 가축
      사육두수는 지역단위의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조정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농업의 육성이 필요하며, 화학비료 투입이 지속되는 한
      가축분뇨의 재활용과 관련 자원화 방법 외에 바이오 가스 이용 등 대체적인 방법을 도입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지역단위 농업
      자원환경의 최적관리를 위해서는 경종과 축산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작물의 양분공급원을 화학비료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 지역순환 시스템 내에서
      해결하는 유기농업-유기축산의 새로운 환경친화적 농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지역단위 농업환경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으로 제시된 최적관리방안(BMP)의 도입 및 운용,
      전과정분석(LCA) 제도의 도입, 지역단위 자연순환형 농업 시스템 구축, [레인보우 플랜]의 벤치마킹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등은 향후 지역단위
      친환경농업 정착을 위해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되는 내용으로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의 정교화와 실용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단위 총체적 양분흐름, 화학비료의 유실량,
      시설재배지의 양분유출, 농산부산물의 농지환원 유기물량, 비료의 작물 흡수량, 친환경농법별 환경영향 평가, 농업생태계의 에너지 흐름 파악 및
      농약이용의 환경영향 평가 부문 등에 관한 주요한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Kim, Changgi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3865 0 35 0 0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이정민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유찬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성재훈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지소유 및 이용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 이전글 농산물 공동출하 유형별 효과 분석과 개선방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