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농업전망 1999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OY0002)
    저자
    이정환 , 김명환; 김병률; 김윤식; 김창길; 김태훈; 신승열; 이계임; 이재옥; 최지현; 허덕
    등록일
    1999.0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요 약







      1. 국제 농업여건 변화 동향과 전망
      세계경제는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전세계로 파급되면서 1.7%의 성장에 머물렀으나,
      1999년에는 다소 회복되어 2∼2.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원유가격은 1998년 31.5%나 하락하였다. 1999년에는 8% 상승하지만, 기타 원자재 가격이
      약보합세를 보여 세계경제는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WTO 차기협상에서는 국내보조가 총 AMS 방식에서 품목별 AMS 방식으로 전환되고,
      그 감축폭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생산제한하의 직접지불(Blue Box)은 존치하더라도
      허용기준이 강화되고, 허용대상 정책(Green Box)도 기준을 강화하는 쪽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개방 분야에서는 과대 계상된 관세 상당치의 감축폭을 확대하되, 관세율이
      높은 품목의 감축폭을 더 높이고, 시장접근 물량의 관리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쪽으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여 국영무역기관에 의한 수입 비중을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안이 제기될 전망이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여서 이와 관련된
      시책이 허용대상 정책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 나라는 APEC에서 임수산물을 포함한 9개 분야의 조기 자유화(무관세화)에 찬성하고,
      1999년 중에 칠레와 자유무역협정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뒤이어 호주, 남아공, 이스라엘 등과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농산물 교역협상에도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이 1999년 4월부터 쌀을 조기 관세화하기로 하여 우리 나라의 2004년 쌀시장
      개방 협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일본이 1999년에 적용하기로
      한 종량관세 351.2엔/kg은 최근의 미국산 장립종 가격을 기준으로 할 때 350% 정도의
      종가세에 해당한다.


      2. 거시경제와 농업생산 여건 변화
      우리경제는 1998년말-1999년초에 경기의 저점을 지나 회복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므로 1999년 경제성장율은 1998년의 -6%에서 1∼2% 수준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소비 지출은 1998년에 -12% 수준으로 추락하였으나, 1999년에는 1∼2% 수준으로
      회복되어 농산물 수요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환율은 1150원/달러 수준 내외에서 변동하고, 1998년 1/4분기에 19%(3년만기 회사채 기준)까지
      상승하였던 금리는 1999년중 7∼8%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투입재 가격은 1998년에 큰폭으로 상승하였으나, 1999년에는 4.6%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업취업자수는 1998년에 4.3% 증가하였고, 1999년에도 2.7%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2000년 이후에는 연평균3. 품목별 동향과 전망
      (쌀)
      쌀 소비는 장기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나 1998년에는 2.6% 증가하였다.
      1999년에는 다시 0.5%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그 이후에도 감소추세가 지속되어
      2004년 소비량은 485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쌀 재배면적은 1990-96년 사이 급격히 감소한 후, 1996-97년에는 2천ha, 7천ha씩
      증가하였으나, 1999년에는 대체로 전년 수준(106만ha)을 유지할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기복이 심하나 대체로 10년 주기로 흉작과 풍작이 반복되는 것으로 보인다.
      1999년은 풍작주기의 끝부분에 해당하므로 단수가 500kg 내외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 라니냐 현상으로 기상이 불안정하므로 평년작 수준인 480kg 정도에 머물
      가능성도 있다. 2000-03년은 흉작주기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비한 기반정비 및 재고관리가
      중요하다.

      국제 쌀 가격은 장기적으로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1997/98년에는
      세계적 풍작으로 장립종 가격은 10%, 중립종 가격은 5% 정도 하락하였다. 그러나 1999년에는
      태국산 장립종이 292달러/톤에서 300달러/톤으로 약상승하고, 미국산 중립종은 미국의
      생산 감소로 396달러/톤에서 480달러/톤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2004년까지 국제 쌀 가격은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시장이 좁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의 수입량이 늘면
      급등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기타 곡물)
      국제 곡물 가격은 1995-96년에 급등하였으나, 1998년에는 세계적인 수요 감소로
      밀 가격은 22%, 옥수수 가격은 10%, 대두 가격은 14%나 하락하였다. 1998년에 중국,
      러시아 등의 대량 소비국에서 생산이 감소되었으나 수입을 크게 확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1999년에도 국제가격은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04년까지는 대부분의 곡물가격이 상승세를 보여 보리 가격은 24%, 밀가격은 26%,
      대두 가격은 11%, 옥수수 가격은 17% 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곡물 수입량은 사료용을 중심으로 1997년에 1,490만톤까지 증가하였으나
      1998년에는 1,430만톤으로 감소하였고, 1999년에는 다시 1,450만톤으로 약간 증가할 전망이다.
      식량자급율은 1996년 26%까지 하락하였으나 1998년에는 31%로 상승하였고,
      1999년에는 30%, 2004년에는 28%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육우)
      국제 쇠고기 가격은 2001년까지 약상승하지만, 그 이후 2004년까지 하락할
      전망이고, 원/달러 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므로 수입 쇠고기의 공급가격은
      1998년 보다 20% 내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8년말 한우 가임암소 두수(91만두)는 전년 대비 16%, 암송아지 두수는
      17% 감소한 상태이므로 1999년중 암소 도축율이 하락하더라도 1999년말 가임암소
      두수는 85만두 이하로 감소하고, 총 사육두수는 238만두 (1998년 12월) 에서 220만두
      내외로 감소할 전망이다.

      한우육의 경제성이 1998년 9월부터 향상되기 시작하였으나 송아지 두수는
      1999년 12월까지 감소할 것이므로 송아지 가격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1999년 중에 임신된 소는 쇠고기가 수입 자유화되는 2001년 하반기에 출하
      연령에 도달하게 된다. 수입 쇠고기의 국내 공급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므로
      2001년 큰 소가격은 190만원을 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높은 가격에 송아지를
      입식하는 것은 신중을 기하고, 조사료 기반을 확충하여 생산비를 절감시켜나가야 한다.

      (기타 축산)
      1998년에는 수입 쇠고기 소비가 50% 이상 감소한 대신 한우육 소비가
      13.7% 증가하였다. 또한 돼지고기 소비는 14.2%나 증가하였고, 가격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1999년에는 수입쇠고기의 공급가격이 하락하여 돼지고기
      수요가 더 이상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수출도 엔/달러 환율 하락으로
      일본 시장에서 미국산과의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998년말 젖소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하였으나, 1999년에는 낙농의
      경제성이 향상되었고 가임암소 두수는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1999년 12월 총 사육두수는 1998년 말보다 약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9년 수입 모조분유 국내공급 가격은 3,400원/kg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국산 분유가 수입품과 경쟁하려면 정상가격(6,000원/kg)에서 2,600원/kg 정도 할인
      판매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세이프가드에 의한 쿼터 규제는 현재 WTO 패널에 걸려있을 뿐만 아니라 2001년에는
      그 기간이 만료되므로 유제품용 원유 소비는 가격차별제가 도입되지 않는 한 급격히
      감소할 것이다.

      (채소)
      고추는 중국산 수입품의 국내공급 가격이 8,750원/kg이 되어 흉작으로 가격이
      폭등하지 않는 한 수입되기 어려우나, 마늘은 국내공급 가격이 2,630원/kg이 되어
      국내가격이 상승하면 고율 관세에도 불구하고 수입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정한
      재배 면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추는 1994-97년 사이 수요가 급증하였으나 앞으로는 거품소비가 줄어들면서
      수요가 약간씩 감소할 전망이다. 2중터널재배, 비가림재배 등이 늘어나면서 단수는
      꾸준히 늘어날 것이므로 재배 면적은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

      고추는 1998년산 생산량이 전년 대비 17% 감소하여 1998-99년 MMA 물량을
      1999년 상반기에 집중 수입해도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은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9년산 재배면적은, 재배의향 면적이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
      (1998년 11월 2.1%, 1999년 1월 4.2%) 전년 대비 7%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단수가 250kg 내외 수준이 되더라도 1998년 공급량 보다 2% 정도 많은 데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은 1998-99년에 대체로 수급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되며 MMA 이상의 물량이
      수입될 가능성은 적다. 양파는 소비형태가 다양화되면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일본으로 수출도 가능하여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시설채소는 채소 전체 생산액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1998년에
      투입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이 4% 늘어날 만큼 농가의 생산의향이 높고,
      또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1999년에도 재배면적은 3%정도 증가하고 가격도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과수)
      사과는 미국이 아시아 시장을 공략 목표로 하고 있어 앞으로 중요한 교역 문제로
      등장할 가능성이 있으나, 2004년까지는 수입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다른 과실과의 대체 소비 현상이 진행되어 수요는 늘지 않고, 재배면적은 단수가
      증가하는 만큼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와 포도는 그 동안 수요가 급증하여, 생산량이 늘어나도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앞으로는 그 동안 식재된 유목이 성목이 되면서 단수가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므로 생산량이 늘어나 공급과잉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4. 농업경제 전망
      1998년 농업부문 부가가치 생산액(불변)은 전년 대비 4.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농산물 가격은 0.2% 정도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질 농업소득은
      투입재 가격의 상승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는데(도시 가계
      소득은 전년 대비 12∼1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특히 과수와 축산부문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명목금액을 보면 생산액은 5,910억원 증가한 반면, 비용이
      1조 2,880억원 증가하여 소득이 6,970억원 감소하였다.

      1999년에는 농업부가가치 생산액(불변)이 1.6% 증가하고 농산물 가격은1.4% 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입재 가격이 하락하여 비용이 감소하므로 농업소득은 7.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목금액으로는 생산액이 1조 6,790억원 증가하고 비용은
      270억원 증가하여 소득이 1조 6,52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 차




      서 장



      제1장 국제 농업여건 변화 동향과 전망



      1. 세계 경제의 동향과 전망
      2. 농산물 교역에 관한 국제논의 동향과 전망





      제2장 국내 농업여건 변화와 농업경제 전망



      1. 거시경제 여건 변화 동향과 전망
      2. 라니냐 현상과 농산물 생산
      3. 농업생산 여건변화 전망
      4. 농업부문 성장과 농산물 가격 전망





      제3장 곡물부문 동향과 전망



      1. 쌀
      2. 보리
      3. 밀
      4. 대두
      5. 사료 곡물
      6. 정책과제





      제4장 축산부문 동향과 전망



      1. 한육우
      2. 양돈
      3. 양계
      4. 낙농
      5. 정책과제





      제5장 채소부문 동향과 전망



      1. 고추
      2. 마늘
      3. 양 파
      4. 시설채소
      5. 정책과제





      제6장 과수부문의 동향과 전망



      1. 사과
      2. 배
      3. 포도
      4. 감귤
      5. 정책과제





      제7장 과실류에 대한 소비자 선호 변화와 전망



      1. 과실류 소비구조의 변화
      2. 품목별 소비 변화
      3. 과실류 수요 전망





      제8장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의 동향과 전망



      1. GMO의 범위와 정의
      2. GMO 개발 및 상품화 현황
      3. GMO에 대한 각국의 정책
      4. WTO 협상 전망 및 앞으로의 개발 전망





      종 합 전 망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정환 (Lee, Jung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1024 0 32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1998년 북한의 식량 생산량 추정
  • 이전글 농업전망 1999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