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두 부문 모형에 의한 농업구조 변화와 전망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기타연구(M) (M034)
    저자
    이정환
    등록일
    1993.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머리말
      제 1장 서론4
      제 2장 경제 성장과 부문간 생산성 격차 변화
      1. 부문간의 생산성 격차 결정모형7
      2. 농업의 상대생산성 변화요인 분해10
      제 3장 농업 취업자 감소와 노령화
      1. 농업 취업자의 감소 경로17
      2. 농업 취업자의 노령화 경로28
      3. 농업 취업자 감소와 노령화 법칙성과 정책의 방향37
      제 4장 농지 유동과 규모의 경제성 변화
      1. 농지가격의 결정모형40
      2. 농지가격의 변화에 관한 실증 분석42
      3. 농지 소유와 림대차 변화43
      4. 지대 부담능력의 규모간 차이와 규모분포의 변화47
      5. 농지정책의 전환 방향5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최근의 한국 농업은 GATT체제 아래서 BOP 조항을 졸업하고,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시장개방이라는 여건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업구조 조정문제가 농업정책에 중심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그러나 현시점에서
      볼 때 농업구조 조정에 대해 정책 입안자나 학자들간에 많은 의견차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과정에 따라 농업구조 조정에 대한 정책방향 또한 구체적으로
      설정되지 못한 실정이다.
      (2)따라서 선·후진국의 경험과 함께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농업문제를 경제성장과
      농업관계라는 틀 속에서 조명하여 농업구조 변화를전망하고, 이에 따라
      농업구조정책의 내용과 방향을 경제성장단계에따라 새로이 정럽할 필요성이 있다.
      (3)선·후진국의 경제성장과정에서 ①수요 변화에 상응하는 생산전환, ②산업구조
      변화에 상응하는 노동력 배분, ③노동력 감소에 상응하는 농지유동 측면에서 고찰하여
      농업부분 조정의 경험법칙을 도출한 후 이러한 조정이 우리 나라의 경우 얼마나
      낙관적으로 전망될 수있고, 경제발전과정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진행되는가? 그리고
      그 속도를 얼마나 낙관적으로 예견할 수 있는가를 규명함으로써 농업구조정책의
      내용과 그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영국, 네덜란드, 독일, 뎬마크, 프랑스, 미국, 일본등 선진 7개국과 한국의
      경제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농업구조 변화를 분석 비교해서 그 공통성을 파악하고,
      그 공통성을 규명함으로서 경제 성장과 농업구조 변화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2)경제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부분간의 생산성 변화의 법칙, 농업노동력 감소와
      노령화의 법clr, 농지 유동과 규모분포 변화의 법칙성을 도출하였다.
      3. 연구결과 요약
      (1)농업부문의 상대 생산성은 경제발전 초기에는 점차로 악화되다가 농업의
      고용비중이 충분히 감소하면 드디어 점차 개선되는 방향으로 변환한다. 즉, 농업
      부문의 상대 생산성은 경제 발전에 따라 U자모양을 나타내며 변화된다.
      (2)기존농업 취업자의 전직 이동률은 매우 낮고, 따라서 기존농업 취업자의 감소는
      대부분 사망, 은퇴 등과 같은 자연 감소요인에 의하여 감소한다. 또한 비농업 부분의
      고용 증가는 대부분 신규업자에 의하여 충당된다. 따라서 농업취업자의 감소 과정은
      세대교체를 필요로 하는 긴 과정일 수밖에 없다.
      (3)농업취업자의 노령화는 경제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고, 또 경제발전
      후기에 이르러 서서히 소멸된다.
      (4)경제발전에 따라 농지가격이 수익시가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것은 보편적 현상이고,
      이것은 비농업부문의 토지 수요증가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다. 따라서 농지 유동은
      임대차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밖에없다.
      (5)경제발전 초기에는 대농의 지대부담 능력이 소농에 뒤지지만 점차로 그
      대소관계가 역전된다. 따라서 농지의 유동 방향도 중농집중으로부터 대농집중으로
      전환되어 대농화의 속도가 가속된다.
      4. 연구결과의 활용
      농업정책의 기본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정환 (Lee, Jung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7910 0 8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지속적 어업발전을 위한 수산자원 관리 및 해양환경 보전방안
  • 이전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방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