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21세기 시설원예산업의 지속발전방안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생산유통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01-22)
    저자
    김병률 , 최지현; 김경필
    등록일
    2001.1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목 차
      제1장 서론
      연구 추진 배경과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시설원예 정책 추진 현황과 평가
      시설원예 정책 추진 현황
      시설원예농업의 성과와 문제
      제3장 시설원예 생산현황과 경영실태
      시설원예작물 생산 현황
      원예시설 형태와 작물재배방식
      재배방식별 재배시설
      첨단시설 원예노가 경영실태
      제4장 시설원예의 전후방 관련산업 현황
      종자산업
      시설원예자재
      제5장 시설원예의 국제경쟁력과 수출현황 분석
      주요 시설원예품목의 경쟁력 비교
      시설원예 농산물 수출현황
      제6장 일본과 중국의 시설원예 현황과 시사점
      일본의 시설원예
      중국의 시설원예
      제7장 시설원예산업의 전망과 지속발전방향
      시설원예산업의 전망
      시설원예산업의 종합 진단과 방향
      시설원예산업 정책의 기본방향과 과제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 약
      1. 연구의 목표
      1994년 정부의 [원예산업 경쟁력 제고대책] 추진 이후 시설원예산업이 급속히 발전하였으나 IMF
      경기침체에 의해 경영부실이 심해지고 시설채소와 화훼의 생산유통지원사업이 중단되기까지 하였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시설원예 경영체의 경영활성화와 전후방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가격불안정이 심한
      시설원예품목의 수급 및 가격 안정방안을 마련하고, 국제시장에서의 수출확대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설원예산업의 정책, 수급, 경영, 전후방관련산업, 외국의 시설원예산업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분석하여, 향후 시설원예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2. 연구개발 내용
      가. 시설원예 정책 추진 현황과 평가
      나. 시설원예 생산현황과
      경영실태
      다. 시설원예의 전후방 관련산업 현황
      라. 시설원예의 국제경쟁력과 수출 현황 분석
      마. 일본과 중국의 시설원예 현황과 시사점
      바. 시설원예 전망과 지속발전방향
      3. 연구결과
      시설채소를 재배하는 유리온실의 경우 토마토 및 방울토마토, 파프리카 육묘로 집중되고 있다. 경질판
      온실의 경우 토마토, 방울토마토, 오이 품목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동화비닐온실의 경우 오이, 방울토마토, 토마토 등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시설화훼를 재배하는 유리온실의 경우 장미와 난류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국화와 나리도 재배되고
      있다.
      시설원예 종자산업은 중국, 인도 등을 1차 목표 거대시장으로 설정하여 기존의 수출 종자확대에 주력하고,
      2차로 잠재적인 고품질 종자, 수요 확대종자를 대상으로 집중 개발할 필요가 있다.
      시설원예자재산업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업종별로 전문화업체를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수출
      지향적인 경영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시설원예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품질 수준이 네덜란드 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시기를 주로 5년
      이내로 내다보고 있으며, 적어도 10년 이내에는 선진국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설원예 농산물 수출의 문제점은 안정적인 수출상품 공급기반의 미비, 국내 수출업체의 영세성 및 난립,
      농가-수출업체-수입업체간 계약의 불확실성 및 계약 불이행 사례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시설원예 전문가 및 생산자조직 담당자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경종작물의 품목 부류별 생산 전망에서
      곡물, 서류, 축산, 노지채소, 과일 등은 현수준 유지 또는 위축되고, 시설원예는 현수준을 유지하거나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 시설원예산업의 발전 방향은 첫째, 국내시장과 수출시장, 고급소비시장과 일반소비시장의
      차별화, 둘째, 수출 및 고품질 농산물 생산 및 공급을 위한 시설현대화와 재배기술 개선, 셋째, 생산성이 높고 시설 설치비용이 저렴한 단동온실과
      연동온실 등 다양한 온실의 개발 보급, 넷째, 수출시장의 다변화와 수출품목 다양화 및 세분화, 다섯째, 농가의 경영규모를 확대하여 자가노동력보다
      고용노동력을 활용한 전문경영 필요, 산지 집중화로 물류 효율화 도모, 여섯째, 시설기자재산업을 육성하여 중국시장을 비롯한 수출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것이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Kim, Byoungryul)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양념채소관측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9800 0 155 0 0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이두영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김상효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정민국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최병옥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과 정책과제
      정민국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김성우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김상효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이두영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정진호
      2021.09.16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촌복지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이전글 한우산업의 전망과 정책방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