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답리작 맥류의 랩-사일리지 베일건초의 생산 가공유통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및 장단기 발전대책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01-21)
    저자
    신승열 , 서종혁
    등록일
    2001.10.01
  • 목차


    •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논은 답리작 조사료 생산에 이용하여 부존자원의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답리작 활용이 부진한 원인은 관배수 불량이나 벼 수확기의 노동력 부족 등에도 기인하나 근본적인 것은 답리작 작물과 벼의 재배시기가
      중복되어 벼의 수확량 감소에 따라 경제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의 대안으로 등장한 랩사일리지 기술 시스템은 답리작 맥류를 조사료화하여 사료 가치를
      높여줌으로써 배합사료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최근 해외에서 개발된 랩사일리지 생산 시스템 기술은 국내 농업 여건에 맞게 개량할 경우 맥류의
      수확시기를 앞당겨 벼의 생산감소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논 이용의 경제성을 높임과 동시에,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공급하여 한우와 젖소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 실정에 맞는 답리작 맥류 조사료 생산의 기계화 일관작업 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답리작 맥류
      조사료를 이용한 한우 및 낙농경영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답리작 맥류 조사료 생산농가와 축산농가를 연계할 수 있는 유통 시스템의 개발과 이를 위한
      정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은 한우와 낙농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답리작 맥류의 랩-사일리지 생산 기술 개발에 따른 답리작 맥류 조사료 생산기계화의 적정 영농
      규모 및 경제성 분석과 랩사일리지의 생산·가공·유통을 촉진하기 위한 장단기 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2. 연구결과
      답리작 조사료 생산은 국내의 조사료 생산기반의 구축을 통한 한우와 낙농의 국제경쟁력제고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정책목표 하에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답리작 조사료 생산은 한우와 젖소의 경제수명 연장, 출산율 제고, 광우병 등
      국제적인 가축전염병의 국내유입차단,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유기물의 지역 단위 리사이클링체계의 확립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할
      정책사업이다.
      이상과 같은 장기적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 효과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민간수준(축산농가)에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①수도작 중심의 농업구조하에서 답리작 사료작물기술의 도입이 작물 생육시기의 중복으로 용이하지 않으며, ②생산기술의 안정성이
      낮고, 기계장비를 위한 시설투자가 매우 높다. ③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농후사료가격과 ④저가의 수입조사료의 조달 용이성 등의 요인
      때문이다.
      답리작 조사료생산이 이와 같은 사회적 경제가치와 사적 경제가치의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정부정책의 개입은
      타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정책은 민간 부문의 투자를 유도하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의 안정성과 생산 시스템의 구축 차원에서 지속적인 기술개발 (예, 답리작 조사료와
      생볏짚 랩사일리지의 TMR체제 구축, 호밀, 이탈리안라이그라 등 다양한 조사료의 답리작 작부체계 확립, 답리작사료의 생산성 제고 등)과
      축산농가가 랩사일리지의 영양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상이한 지역 단위(남·중·북부, 산간·평야 지역 등)에서의 시범사업의 실시가
      필요하다.
      랩사일리지의 생산비는 생산규모(면적, 생산량)에 반비례하여 적정규모 35∼40ha까지 급격히 하락함을
      감안하여 대단위 생산단지의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데 지역 여건에 따라 다양한 생산주체를 육성하되, 사료포를 확보한 대규모 축산농가(낙농농가)를
      제외하고는 자급형의 작목반 중심의 협동생산주체나 협동조합(영농조합법인 포함) 중심의 판매목적의 기업적 경영주체를 육성해야 할
      것이다.
      랩사일리지의 유통체제의 확립을 위한 시장의 구축은 먼저 여건을 조성한 후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다. 시장의 형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표준화된 품질과 상품의 규격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생산된 랩사일리지는 큰 부피와 무게로 인한 이동의
      제약을 감안하여 시장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계하는 중계 기능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협동조합에서는 정보를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생산과정의 경제적인 손실보전과 농가의 참여 유도를 위하여 논농업직불제와 연계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즉 일본의 생산조정 보상금제도와 같이 답리작 사료재배농가에게 논농업직불금액을 상향조정하여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신승열 (Shin, Seungyoul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9400 2 0 2 4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역농림업 발전사업 추진방안 연구

      지역농림업 발전사업 추진방안 연구
      장종익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농업전망 2018 :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KREI
      2018.01.24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지방분권시대, 농촌정책이 가야 할 길 : 제25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9.07.26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0년사 : 1978-2018
      KREI
      2018.03.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농업전망 2019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KREI
      2019.01.23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귀농・귀촌인 마을 사례조사: 3차년도(2017)
      마상진
      2018.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4차 산업혁명 관련 2017년 농업농촌 이슈는 무엇이었나?
      김용렬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1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전망 2020 (2권) : 농업·농촌 포용과 혁신,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KREI
      2020.01.2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농촌 활성화의 길, 신활력 플러스에서 찾는다 : 제2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KREI
      2018.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글로벌시대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실태와 과제
      김병률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산물유통 종합정보시스템 개발연구
  • 이전글 21C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맨위로